
| 우리는 지금 '역사 전쟁'의 한복판에 놓여있다 | |
등록일: 2012.11.29 [11:22] | 조회: 1173 | |
오래 전에 <4억 민중>(The 400 Million)(1938년)이라는 다큐멘터리 영화를 본 적이 있다. 역사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눈치를 챘겠지만 '4억 명'이라는 숫자는 중일전쟁을 전후한 시기 중국의 인구를 가리킨다.
프레시안>2012-11-29
"[백년전쟁 Part 1] 두 얼굴의 이승만- 권해효 나레이션(풀버전)"
등록 :2016-04-04 10:32수정 :2016-04-04 17:19
[백년전쟁 Part 1] 두 얼굴의 이승만- 권해효 나레이션(풀버전)
[김기철 전문기자의 Special Report] ‘민족문제연구소’의 김노디 지사 인격 살인
◇‘민족문제연구소’의 침묵
이승만을 ‘반역자’ ‘플레이보이’로 매도한 동영상을 만든 민족문제연구소는 지난달 김노디 지사 서훈에도 불구하고 이렇다 할 사과나 해명 하나 내놓지 않았다. 이 연구소를 이끄는 임헌영 소장은 2019년 ‘민중의 소리’ 인터뷰에서 현 정부의 대북(對北) 정책에 대해 “문재인 정부가 근대사 이후의 흐름을 바꿨다”, “동학혁명도 3⋅1운동도, 4⋅19혁명도 못 바꾼 역사를 바꿨다”고 평가할 만큼 현 정부와 가까운 인물이다.
출제: https://www.chosun.com/opinion/2021/10/28/CV6V5EQTIJFKDLXQGXWA3L5QXI/
입력 : 2018.04.14 03:01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7/23/2020072300040.html
‘이승만 대통령 재조명’ 보훈처, 美서 좌담회
업데이트 2023.05.01. 06:33
스툭 교수는 이 전 대통령이 친일 인사였다는 좌파 학계의 주장에 대해 “한국은 과거를 ‘정치화’하려는 경향이 있다. 역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건 이승만은 강한 반일 감정을 가지고 있었다는 것”이라며 “그는 일본과의 관계를 정상화하라는 미국의 압력에 지속적으로 저항했다”고 했다.
관련 기사
[전문] 美 역사학자들 “이승만, 정당한 근거 토대로 판단해야”
출처 : https://www.chosun.com/international/us/2023/05/01/GQEDZZZKZBCLJIQVT3OESREY7U/
** 100년 전 기록해 둔 이승만 전 대통령의 연설 영상을 수집하기까지. 전 과정 공개ㅣ KBS 현대사 아카이브 프로젝트, 우리의 기억 l 230210 KBS1 방송
** KBS 한국사전 – 이승만 제1부 / KBS 2008.8.30. 방송
** KBS 한국사전 – 이승만 제2부이승만 제2부/ KBS 2008.9.6. 방송
** 이승만 전 대통령? 김구? 민족의 영웅 '여운형' 암살의 충격적인 배후는? | 당신이 혹하는 사이 (SBS방송)
** 자존심이 강했던 이승만 대통령 [낭만논객] 81회 20150920
‘백년전쟁’ 왜곡 맞서 ‘이승만 바로세우기’… 하와이 이 女人의 집념이었다
[김윤덕이 만난 사람]
‘이승만의 하와이 30년’ 책과 다큐로 만든 이덕희 소장
업데이트 2023.06.27. 09:38
“숲으로 뒤덮인 곳에서 100년 전 가마터와 숯을 운반하던 철로가 나왔으니까요. 이승만 박사는 빅아일랜드에 골프장 6개 크기인 963에이커 땅을 구입해 동지촌을 만들어요. 더 이상 사탕수수 농장 일을 할 수 없는 나이 든 동포들을 위한 경제 공동체를 만들고 독립운동 기금을 마련하려고 했지요.”
출처 : https://www.chosun.com/opinion/column/2023/06/26/O4VTSXXVTZBAJME5UY5C5W52KU/

② 워싱턴·제네바를 무대로 상해 임시정부 중심 잡아
이승만은 아내에게 하와이에서 병사한 교포들의 얘기를 들려주었다. 사탕수수 농장에서 일하면서 고국에서 신부를 데려오는 꿈을 키우다가 죽게 되자, 그들은 결혼 자금으로 모은 돈을 독립운동 자금으로 내어놓고 이승만의 무릎을 베고 운명했다. 그제서야 왜 남편이 3등 열차, 3등 선실을 고집하는지 깨달았다고 그녀는 술회했다.
③ 얄타 회담 비밀협약 폭로
[아무튼, 주말]
[전봉관의 해방 거리를 걷다] 댄스홀 ‘국제문화사’와 김계조 사건
⑧ 6·25 전쟁과 초기 대응
남한에 진정한 군대가 없고 외국으로부터 실질적 도움을 받을 정당한 희망도 없었으므로, 침공해 온 적군을 패배시킬 가능성은 너무 작아서 절망적이었다. 그래도 이 대통령은 항복이 아니라 저항을 명령했다. (로버트 올리버, ‘이승만: 신화 뒤의 사람’)
출제: https://www.chosun.com/opinion/specialist_column/2023/10/04/27F564PNPFE25DRZF3375N5V2E/
지우다 못해 조작까지 해서 없애버리는 이승만의 흔적[박종인의 ‘흔적’]
지난주 조선닷컴 ‘송재윤의 슬픈 중국’ 칼럼에서 캐나다 맥매스터대 송재윤 교수는 <’이승만 죽이기’ 60여 년, ‘팩트’를 지어내는 역사가들>이라는 제목으로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의 한 유명 교수(역사학자)’가 조작한 사료를 지적했다. 그 교수가 한 대중 강연에서 ‘1952년 국민 직선제로 치러진 대통령 선거에서 이승만이 기호 1번이라서 당선됐다’고 주장했다는 것이다. 그가 한 말은 이렇다. “문맹률이 높은데 누가 기호 1번 차지하느냐가 되게 중요하거든요. 이승만 대통령이 기호 1번이에요. 당연히 (당선)되는 겁니다. 이건 뭐, 기본적으로 이승만 대통령이 강한 권력을 차지하게 되는 거고요.” 이 주장과 달리 이승만은 한 번도 ‘기호 1번’을 차지한 적이 없다. 1952년 선거 기호 1번은 조봉암이었다.
‘출처 : https://www.chosun.com/national/weekend/2024/02/17/5QJUKJHHMFHYLN4OJ3JYGWS5TA/
6·25때 “서울 남으라” 했다? 런승만 연설은 없었다
다큐 ‘건국전쟁’으로 본 이승만 행적 오해·진실
유석재 기자
입력 2024.02.19. 03:00업데이트 2024.02.19. 09:59
실제로 27일 밤 10시에 방송된 이승만의 연설은 “모든 시민들이 전쟁이라는 과제를 수행하면서 용기와 애국심을 발휘할 것을 믿는다”며 국민의 협조를 당부하는 내용이었다. ‘이승만이 서울 시민에게 안심하고 서울에 남으라는 방송을 했다’는 것은 명백한 왜곡이다. 그러나 이 방송을 전후해 ‘국회가 서울을 사수하겠다고 결의했다’는 소식 등이 방송됐기 때문에 청취자로서는 오해할 소지가 있었다..
출처 : https://www.chosun.com/culture-life/relion-academia/2024/02/19/CUEDXUWQVZH33NEMF7R2YSSVUI/
[김윤덕 칼럼] 국민을 역사의 까막눈으로 만든 ‘백년전쟁’의 침묵
‘건국전쟁’ 100만 관객 육박하는데 침묵하는 민족문제연구소
김구의 이중성 지적에도 조용
4·19세대, “이승만 그대로 담아냈기 때문”
‘난 왜 여전히 홀로 서있나’ 묻는 이승만에게 국민이 답할 차례
김윤덕 기자
입력 2024.02.21. 03:10
출처 : https://www.chosun.com/opinion/column/2024/02/21/BR23XHZNI5CD7HITNEGUM2ERHE/
[이 사람] 영화 〈건국전쟁〉 만든 김덕영 감독 : 월간조선
⊙ “이승만을 비난하고 왜곡하는 사람들, 모르는 사람들이 영화의 주 타깃”
⊙ 박스오피스 3위… 네이버·다음에서는 이승만 얼굴 담긴 영화 포스터 한동안 게시 안 해
⊙ “이승만의 뉴욕 퍼레이드 동영상 발견했을 땐 스태프들과 펑펑 울어”
⊙ 박근혜 탄핵 보면서 親北 세력의 선동 느끼고 〈김일성의 아이들〉 만들어
출처 : https://m.monthly.chosun.com/client/news/viw.asp?ctcd=H&nNewsNumb=202403100039
** (다큐) 김일성의 아이들ㅡ김덕영 인터뷰
** KBS 다큐멘터리극장 – 파란 눈의 영부인 / KBS 19940424 방송
** [여순사건 60년] 잃어버린 기억 / KBS 방송
** [특집] 낙인-여순사건70주년 / 광주 KBS 방송
** [KBS제주 4·3다큐_2003년 작] 4·3 인권보고서 55년만의 진실
** 4.3특집 [암살 1948] KBS제주 210402방송
** [금요저녁 Live] 영화 건국 전쟁 2: 김덕영 감독의 대한민국 초기 역사 진실
** [63회] 김덕영 영화감독 1부 / 홍승기가 묻고 그가 답하다
** [64회] 김덕영 영화감독 2부 / 홍승기가 묻고 그가 답하다
** 〈건국전쟁2〉‘제주 4.3'의 실체! 아무도 말 못했던 금기의 역사 [일타뉴스]
** [몰아보기] 4.3 사건 주역 김달삼, 이덕구는 누구인가?
** [설민석의 역사특강] 당신이 몰랐던 제주 이야기 #제주4.3사건
** [선넘녀] "굶겨 없애고 태워 없애고 죽여 없앤다" 반드시 기억해야 할 제주 4.3 사건의 진실ㅣ#설민석 MBC190309방송
** [#알쓸범잡] 한강 〈작별하지 않는다〉의 배경이 된 제주 4.3 사건 국가가 오랫동안 숨겨왔던 제주에서의 이야기
** [꼬꼬무 73회 요약] 사람 사는 동굴 입구를 막고 불을 질렀다... 백골 시신이 말해주는 제주 4.3사건의 진실 | 꼬리에 꼬리를 무는 그날 이야기 (SBS방송)
** 1992년 언론 공개 45일 만에 닫혀야만 했던 다랑쉬굴, 그 이유는?/ KBS 4.3 특집 UHD 다큐멘터리 '다랑쉬비망록' [KBS제주] 20220403방송
** [전국다큐자랑] 1950년 이념의 대립과 전쟁의 광기 속에서 수 천명의 민간인이 희생당해 묻힌 곳... [대전총국 다큐 - 골령골, 묻혀버린 진실] (KBS 2021 방송)
** 제주 4.3 사건 완벽 재구성│한국 사람도 모르는 제주도에서 벌어진 참혹한 대학살│다큐프라임 (바람의 집 1부)
* 제주 4·3평화·인권 교육_다큐프라임 바람의 집 2부
[아무튼, 주말]
[박종인 기자의 '흔적']
임정 자료로 알아본
대한민국 건국
출처 : https://www.chosun.com/national/weekend/2025/09/13/Z3QHQDGGYBE4ZM55RU5Q7K5QL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