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S 팟플로 동영상을 재생중이고 SMISyncW로 동영상을 동시에 재생시킬때 팟플의 소리가
나오지 않거나, SMISyncW 프로그램의 볼륨 조절이 되지 않는다면 음성 코덱을 설치해 주어야 한다
================================================== http://11pm.tistory.com/95
[IT동아 이문규 기자] 글로벌 스타트업인 시어스랩(대표 정진욱, www.lollicam.co.kr)은 24일, 동영상 셀카앱 '롤리캠'이 출시 6개월 만에 200만 누적 다운로드 수를 달성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 5월 국내 안드로이드 버전 출시 이후 4개월 반 만에 100만 다운로드 달성한 시점으로부터 2개월도 안돼, 마케팅 비용 없이 사용자들의 입소문만으로 이뤄낸 기록이다.
11월 현재 기준으로 롤리캠의 월간 이용자수(MAU)는 전체 다운로드 수의 70%에 달하는 약 140만 명이며, 일일 이용자수(DAU)는 20%에 달하는 40만 명에 달한다. 특히 롤리캠으로 하루에 촬영되는 영상 컨텐츠는 약 200만 개로, 이 중 약 10%인 20만 개가 주로 카카오톡, 라인 등의 메신저를 통해 매일매일 공유되고 있다. 또한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의 SNS로도 매일 약 1만 여 개의 콘텐츠가 공유되고 있다. 이를 통해 최근 젊은 사용자 층을 중심으로 롤리캠을 활용한 동영상 셀카 놀이가 새로운 유행으로 자리잡고 있다.
롤리캠 셀카앱 200만 다운로드 기록
이에 따라 시어스랩은, 롤리캠 출시 이후 국내 사용자들의 동영상 저작이 활성화되어 새로운 트렌드(셀피 2.0)를 만들어 냈다고 평가했다. 롤리캠은 후보정이 필요 없는 400개 이상의 얼굴 인식 스티커와 시네마틱 이펙트로 누구나 손쉽게 독특한 동영상을 제작할 수 있어, 국내 동영상 미디어 시장에 새로운 트렌드를 이끌어낼 것이라 기대하고 있다.
롤리캠은 9월 말 iOS 버전 출시 이후 국내 전체 앱스토어에서 출시 당일부터 2주간 1위를 기록했으며, 프로덕트 헌트(Product Hunt) 및 매셔블(Mashable) 등 해외 미디어에서도 주목 받은 바 있다. 최근 미국, 일본, 중국 등의 해외 사용자 수도 급증하고 있으며, 롤리캠 개발사인 시어스랩은 내년부터 각 지역별 콘텐츠와 해외 사용자들의 요구 사항을 보강해 본격적으로 해외 시장을 공략할 계획이다.
시어스랩의 정진욱 대표는 "최근 해외뿐 아니라 국내에도 많은 동영상 서비스가 생겨났지만, 대부분이 만들어진 동영상의 유통에만 관심을 두고, 정작 사용자들이 좀더 쉽게 스마트폰으로 동영상을 만들도록 하는 환경 구축에는 소홀하다. 향후 롤리캠이 다양한 동영상 유통 플랫폼과 사용자들이 직접 만든 동영상 콘텐츠들을 연결하는 고리 역할을 할 것"이라 밝혔다.
시어스랩에서는 롤리캠 200만 다운로드 달성을 기념하여 11월 말부터 연말까지 '롤리캠 비디오 어워드: 나도 MCN스타' 이벤트를 개최한다. 자세한 내용은 롤리캠 페이스북(www.facebook.com/lollicam)에서 확인할 수 있다.
[IT동아 이문규 기자] 글로벌 미디어 스타트업인 시어스랩(대표: 정진욱, www.seerslab.co.kr)은 신개념 셀카 동영상 전용앱인 '롤리캠(lollicam)'이 출시 5개월만에 100만 다운로드를 달성했다고 밝혔다.
롤리캠 100만 다운로드 달성
시어스랩 지난 5월 구글 플레이스토어를 통해 처음으로 국내에 얼굴 인식 셀카 동영상 앱인 롤리캠을 선보였다. 롤리캠은 지난 9월 25일 iOS버전 출시 당일 인기 게임 앱들을 제치고, 국내 애플 앱스토어 무료앱 1위 및 구글 플레이스토어의 미디어/동영상 카테고리에서도 1위를 차지하며, 국내 뉴미디어 시장의 새로운 강자로 부상하고 있다.
최근 전세계 SNS 이용자들 사이에서 짧은 영상을 촬영하고 공유하는 트렌드가 확산되고, 바인(Vine), 스냅쳇(Snapchat) 등의 동영상 공유 플랫폼이 늘어남에 따라,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짧은 시간 안에 보고 즐길 수 있는 숏폼 비디오(Short-form video) 촬영 및 공유가 대세로 자리잡고 있다.
롤리캠의 100만 다운로드 달성은 대규모 마케팅 비용 없이 순수하게 사용자들의 입소문을 통해 단기간에 이루어졌다는 데 의미가 있다. 롤리캠을 통해 SNS로 공유되는 사진, 동영상은 하루 평균 약 3만 건이다. 롤리캠 출시 덕에 동영상 촬영/공유에 익숙하지 않던 국내 사용자도 재미있는 영상을 쉽게 촬영하고 공유할 수 있게 됐다.ㅇ
이러한 인기의 비결은 실시간 자동 풀보정 기능과 영화, TV등에 나오는 시네마틱 이팩트 등을 활용하여 별도의 후보정 과정 없이 누구라도 간편히 예쁘고 재미있는 동영상을 찍을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최근 젊은 층들이 많이 활용하는 움짤(움직이는 그림)을 손쉽게 제작할 수 있는 다양한 GIF 포맷을 지원한다.
국내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롤리캠의 인기는 높아지고 있으며, 해외 IT매체인 매셔블(Mashable)은 롤리캠을 '놓치지 않아야 할 5가지 대세앱'으로 선정했다.
[IT동아 이문규 기자] 글로벌 미디어 스타트업인 시어스랩(대표: 정진욱, www.seerslab.com)이 신개념 셀카 동영상 전용앱인 '롤리캠(lollicam)'의 안드로이드 정식 버전을 5월 7일 구글플레이를 통해 출시한다.
롤리캠 동영상 셀카 앱
롤리캠은 3D 페이스 엔진 기술을 활용하여 번거로운 후보정 작업 없이 모바일에서도 간편하게 예쁜 셀카 동영상 촬영이 가능한 신개념 셀카 동영상 앱이다. 촬영 전 간단한 터치만으로도 영화나 방송에 사용되는 다양한 시네마틱 효과, 얼굴 인식 기반의 움직이는 스티커, 동영상 필터 등을 활용하여 독특하고 재미있는 동영상 연출이 가능하다.
또한, 롤리캠은 동영상 기능뿐만 아니라 1997년 영화 '해리포터' 시리즈에서 처음 소개된 이후 최근 뉴욕의 아티스트들이 주로 사용하여 화제가 된, 사진과 동영상의 중간 포맷인 '시네마그래프(Cinemagraph)'를 세계 최초로 전보정(Pre-processing) 방식으로 구현했다. 이에 따라 그 동안 주로 영상 전문가가 제작했던 시네마그래프 형태의 사진을 일반인도 간편하게 촬영할 수 있게 됐다.
실제로 롤리캠을 통해 나비, 콧수염 등의 100여 가지가 넘는 스티커와 눈, 구름 등의 시네마틱 효과뿐 아니라 30여종의 다양한 필터들을 손쉽게 조합하여, 일반 사진은 물론이고 시네마그래프와 동영상을 모두 촬영할 수 있다. 향후에는 여러 콘텐츠 제공사들과 제휴하여 영화나 방송에서 유행하는 시네마틱 효과와 아이템들을 모바일 환경으로 구현하여 일상생활에서 즐길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롤리캠 시네마틱 효과
최근 전세계적으로 셀피(Selfie)족이 늘어나면서 셀피 기능이 강화된 고성능 카메라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폰이 시장에 쏟아져나오고 있으며, 미국 시장을 중심으로 짧은 동영상(Byte-sized video)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다. 이에 반해 국내는 여전히 사진 이미지 중심 시장이며, 최근 네이버나 다음카카오 등이 동영상 기능이 포함된 카메라 앱 등을 출시하면서 짧은 동영상 시장으로 전환될 모습을 갖추고 있다. 다만 작은 모바일 화면에서 셀카 동영상 꾸미기에는 여전히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에 롤리캠은 IT기술과 방송 콘텐츠를 접목한 완전히 새로운 접근 방식으로 국내 셀카 동영상 시장에 활력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시어스랩은 SK텔레콤, 네이버, KTH 등에서 모바일TV, 푸딩카메라, 미디어 클라우드 등의 모바일 신규 서비스를 개발한 경험으로 작년 5월에 설립한 신생 벤처회사다. 설립한 지 약 6개월 만에 스마일게이트의 오렌지팜 엔젤클럽과 카이트창업가재단으로부터 정부 자금을 포함한 약 14억 원 규모의 초기 투자 유치를 완료했다. 이번 롤리캠의 국내 안드로이드 출시 이후, iOS 상용 버전을 포함하여 연내 롤리캠의 글로벌 상용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IT동아 남시현 기자] 휴대폰 카메라의 성능이 높아지고, 데이터 전송 방법이 간편해지면서 사진과 동영상을 주고 받는 게 일상이 되었습니다. 지금은 카카오톡으로 손쉽게 사진과 영상을 첨부하고, 아이폰의 에어드롭으로 손짓 한 번에 사진을 전달할 수 있습니다. 그래도 동영상은 아직까지 자유로운 수준은 아닙니다.
동영상은 사진과 다르게 용량이 크기 때문에 메신저로 전달이 되지 않는 경우도 있고, 지원되는 한도라도 시간이 오래 걸리기도 합니다. 또 갤러리에서 간단히 꾸밀 수 있는 사진과 다르게 동영상은 편집할 때 약간의 이해가 필요합니다. 그래도 동영상을 자르고 붙이는 방법만 아신다면 동영상을 주고받는 것도 조금은 수월해집니다. DISTOOOOO님의 궁금증을 풀어드리겠습니다.
스마트폰으로 영상을 편집하는 예시 / 출처=셔터스톡
안녕하세요, 스마트폰에서 쉽게 영상 자르는 법을 소개받고 싶어서 메일을 드립니다. 저희 부모님께서 매번 동영상이 카카오톡으로 안보내진다고 하시는데, 제가 생각하기엔 용량이 커서 못 보내시는 것 같습니다. 항상 영상을 길게 찍어서 보내시거든요. 영상에서 앞뒤만 잘라내도 보내는 게 될 것 같은데 자르는 방법을 모르십니다.
원격으로 알려드리고 싶어도 저는 아이폰을 쓰고, 부모님은 갤럭시를 쓰고 있어서 어떻게 설명을 드리기가 어렵습니다. 블로그에 있는 글을 보여드려도 잘 따라 하지 못하셔서요. IT동아 기자님이 생각하는 가장 쉬운 영상 자르는 방법을 알려주시면 기사 링크를 전달해서 ‘이것보다 쉬운 방법은 없다’라고 말씀드려보려 합니다. 부탁드립니다.
갤럭시에서 가장 쉽게 동영상을 자르는 방법
DISTOOOOO님, IT동아입니다. 부모님께서 영상을 카카오톡으로 보내지 못하시고, 그 이유가 영상 길이가 너무 길어서이기 때문에 영상 자르는 방법을 알려달라는 질문이시네요. 물론 영상 해상도나 프레임을 줄여서 촬영한다거나, 영상 자체를 짧게 촬영하는 방법도 있겠지만 일단은 이전에 보내려고 하셨던 영상들을 보내실 수 있도록 영상을 자르는 방법에 대해 소개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갤러리에서 자를 영상을 선택하고, 좌측 아래 연필 아이콘을 눌러 편집 화면으로 진입합니다 / 출처=IT동아
우선 갤럭시 홈 화면에서 빨간색 ‘갤러리’ 아이콘을 눌러 사진 보기 화면으로 진입합니다. 그다음 해당 화면에서 화면을 위아래로 쓸어내리면서 이전에 촬영했던 영상을 터치합니다. 화면을 터치하면 해당 영상이 전체 화면 형식으로 나오게 됩니다. 그다음부터는 편집 화면을 진입할 차례입니다.
전체화면 상에서 아래 좌측에서 두 번째에 있는 연필 모양 아이콘을 눌러보십시오. 그러면 아래에 있는 스피커, 가위, 사각형, 삼원색, 해님, 스마일, 설정 중 가위 모양 아이콘이 노란색으로 돼있을 것입니다. 그 상태에서 바로 위에 있는 사진 슬라이드바를 보신 뒤, 양쪽 끝에 검은색 I가 들어있는 흰색 박스를 옮깁니다. 흰색 박스를 옮기면 영상이 반투명해지는데, 이 기능이 바로 영상 화면을 자르는 설정입니다.
3번의 박스를 앞뒤로 움직여서 영상을 자르거나, 4번의 →││←을 눌러서 해당 위치로 자를 수도 있습니다. 앞뒤를 자르면 5번의 ▷를 눌러 잘린 부분만 재생해서 볼 수 있습니다 / 출처=IT동아
영상에서 앞뒤만 자르려면 흰색 박스를 앞뒤로 당겨 원하는 위치까지 잘라내고, 특정 부분만 나오게 하려면 슬라이드바에서 우선 나왔으면 하는 부분을 터치합니다. 예를 들어 강변에서 오리가 떠있는 1분 30초 분량의 동영상이 있고, 이 부분에서 오리만 나오게 하고 싶다면 슬라이드를 터치해 상단 화면에서 오리가 나오는 부분을 찾습니다. 작은 화면을 보면 미리 보기가 지원되니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터치한 상태에서 →││←아이콘이 뜰 텐데, 이 부분을 누르면 영상이 해당 부분까지 잘립니다. 그다음에는 앞 뒤로 바를 움직여서 영상 길이를 맞춥니다.
AD
마지막으로 우측 상단의 저장을 누른 후, 창이 떴을 때 한번 더 저장을 누릅니다 / 출처=IT동아완성된 영상은 상단에서 ▷아이콘을 누르면 잘린 영상만 볼 수 있습니다. 영상에 원하는 부분이 나오지 않으면 다시 바를 밀고 당겨서 원하는 부분이 나오도록 하고, 필요 없는 부분이 나왔으면 잘라서 옮겨줍니다. 영상이 적당히 잘렸으면 우측 상단에 ‘저장’을 누르고 ‘저장’합니다. 이때 ‘편집한 내용을 원본에 적용’이라는 메시지가 나오는데, 복잡하게 이해하실 필요 없이 저장을 누릅니다. 잘린 영상은 추후에 다시 확인할 수 있으니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이 과정까지 끝났으면 이제 영상이 간단히 잘렸으니, 카카오톡에서 다시 보내기를 하면 전송이 될 것입니다. ‘IT애정남’은 IT제품이나 서비스의 선택, 혹은 이용 과정에서 고민을 하고 있는 독자님들에게 직접적인 도움이 되고자 합니다. PC, 스마트폰, 카메라, AV기기, 액세서리, 애플리케이션 등 어떤 분야라도 ‘애정’을 가지고 맞춤형 상담을 제공함과 동시에 이를 기사화하여 모든 독자들과 노하우를 공유할 예정입니다. 도움을 원하시는 분은 pengo@itdonga.com으로 메일을 보내 주시기 바랍니다. 사연이 채택되면 답장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