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유망] 네덜란드 예초기 시장동향 | ||||||||||||||||||||
---|---|---|---|---|---|---|---|---|---|---|---|---|---|---|---|---|---|---|---|---|---|
게시일 | 2017-08-29 | 작성자 | 이소정 | ||||||||||||||||||
국가 | 네덜란드 | ||||||||||||||||||||
무역관 | 암스테르담무역관 | ||||||||||||||||||||
HSCODE | 843311 | ||||||||||||||||||||
□ 상품명 및 HS Code
ㅇ 상품명: 예초기(Grass cutters, Lawn mowers, 네덜란드어 grasmaaier) - HS Code 843311로 분류되며 수평 회전 절단장치를 동력원으로 삼아 풀 또는 공원, 경기장 잔디를 벰.
□ 선정 사유
ㅇ 이번 조사는 네덜란드의 예초기 시장 동향과 가능성을 살펴봄으로써 한국 기업들의 시장 진출을 돕기 위해 작성됨.
ㅇ 지난 기간 원예상품 시장에서 예초기는 긍정적 성장세를 보임.
□ 시장규모 및 동향
ㅇ 네덜란드에서 예초기는 '원예 설비'에 포함되며 가정·원예용품 전문점, 가정·원예용품 DIY 상점, 제조 브랜드 온·오프라인 상점에서 판매됨. - 가정·원예용품 전문점이 주 판매처이지만, 최근 몇 년간 원예용품 유통채널은 변화하고 있음. - 네덜란드 소비자들에게 원예는 중요한 활동이며 정원을 집의 연장선으로 생각함. 대부분 4~10월 사이에 원예 활동이 이루어짐.
ㅇ 원예용품 전문 소매점은 주로10개 이상 브랜드의 예초기를 판매함. - 예초기는 동력원에 따라 전기 작동, 배터리 작동, 가솔린 엔진 작동 3가지로 분류가 가능함. 또한 예초기는 일반적으로 5가지 모델로 분류할 수 있음.
예초기 모델
ㅇ 2016년 네덜란드 시장의 예초기 매출은 4310만 유로에 달함. - 위 예초기 모델은 다시 보행식 예초기, 승용식 예초기, 로봇 예초기 세 가지로 분류가 가능함(매출액을 계산할 때 수동식 예초기, 회전식 예초기, 에어쿠션식 예초기는 모두 보행식 예초기에 포함됨). - 보행식 예초기 매출은 3980만 유로로 가장 많음. 로봇 예초기 매출은 210만 유로, 승용식 예초기 매출은 130만 유로임. - 2015~2016년 사이 예초기 매출은 0.4% 상승함. 같은 기간 동안 로봇 예초기 매출은 6% 상승한 반면, 승용식 예초기 매출은 1.9% 감소함. 보행식 예초기 매출은 0.2% 로 소폭 상승함.
ㅇ Albert Heijn 등 슈퍼마켓, Aldi, Lidl 등 할인 판매점은 긴 영업 시간과 가격 할인으로 인해 가정·원예용품 매출이 눈에 띄게 상승함. - 그러나 가정·원예용품 전문점에 비해 예초기 모델 종류가 적거나 시즌 상품만 판매함. 고객들은 폭넓은 제품 선택 범위와 전문적 서비스에 대한 높은 신뢰로 인해 가정·원예용품 전문 소매 유통채널에서 예초기를 구입함. - 지난 5년간 인터넷 소매 시장 성장으로 인해 네덜란드 온라인 원예용품 매출은 성장세를 보임. Bol.com, Coolblue.nl, Wehkamp.nl 등의 온라인 매장이 특히 돋보임. 또한 고객들은 오프라인에서 제품을 구매하기 전 온라인에서 제품 디테일을 확인함. - 가정·원예용품 전문점이나 DIY 소매점의 Intratuin Nederland BV, Intergamma BV, Maxeda BV 등 자가브랜드상품(Private Label Products)이 지속적인 강세를 보임. 고객들은 Intratuin, Gamma, Praxis 등 합리적 가격으로 고품질 상품을 제공하는 자가브랜드 상표를 선호함.
ㅇ 네덜란드 보행식 예초기 시장은 계속해서 최대 규모를 유지함. - 네덜란드 소비자 대부분이 소규모 정원을 소유하고 있어 승용식 예초기나 로봇 예초기는 선호하지 않기 때문임. - 대규모 토지를 소유한 네덜란드 소비자들의 경우 승용식 예초기를 사용하기도 하지만, 이는 농장주를 제외하고는 네덜란드에서 흔하지 않은 경우임.
ㅇ 2016년 로봇 예초기 매출이 6% 상승하는 등 소비자들의 관심이 눈에 띄게 증가함. - 로봇 예초기는 반자동식과 완전자동식으로 구분함. 반자동식 로봇 예초기는 수동으로 작동을 시킨 후 자동 제초작업을 수행함. 작업 후 수동으로 충전기에 연결해줘야 함. 완전자동식 로봇 예초기는 설정 시간에 자동으로 제초 작업을 수행하며, 작업 후 자동으로 충전기와 연결됨. - 로봇 예초기는 집안일에 소비하는 시간을 단축시키는 등 편리하지만, 고가이기 때문에 소비자들은 구매를 망설임. 대부분 소비자들은 시간 절약이 높은 단가를 정당화하지는 못한다고 생각함. - 대중적으로 잘 알려진 로봇 예초기 브랜드로는 Ambrogio, Honda, Husqvarna, Robomow, Gardena, Bosch가 있음.
□ 최근 3년 수입규모 및 상위 10개국 수입동향
ㅇ 네덜란드는 수량을 기준으로 중국, 독일, 벨기에, 미국 순으로 예초기(HS code 843311)를 수입함. - 2016년 중국으로부터의 예초기 수입은 전년 대비 37.1%까지 상승했으며 수량은 18만4479대에 달함. 독일, 벨기에로부터의 수입량은 각각 2.08%, 21.54%까지 감소했음. - 그러나 총 수입액을 기준으로 하면 미국으로부터의 수입이 7386만0597달러로 가장 높고, 차례로 독일, 중국 순임. 이는 미국으로부터의 평균 예초기 수입 단가가 타 국가보다 높기 때문임.
2014~2016년 가격 기준 예초기 수입 상위 10개국 현황 (단위: 달러, 대)
□ 대한 수입 규모 및 동향
ㅇ 예초기(HS Code 843311) 수입 통계에 따르면, 한국은 총 수입액 기준 30위를 기록함. 2014년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액은 32만5639달러로 보고됨. 2015~2016년에는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이 없었음. - 2014년 대한 예초기 수입량은 432대였으며, 단가는 753.79달러였음.
□ 경쟁동향 및 주요 경쟁기업
ㅇ 네덜란드 소비자 다수는 다양한 제품이 구비된 주거 개선·원예용품 전문점에서 원예용품을 구입함. - 최근 몇 년 간 시즌에 한해 예초기를 판매하는 식료품점이나 온라인에서 원예용품을 구입하는 소비자 수가 증가함. 구매 시 편리함을 중시하는 소비자들의 경우, 가격이 약간 더 저렴하고 배송이 가능한 온라인 구매를 선택함.
ㅇ Hornbach Bouwmarket BV는 2016년 원예용품 분야에서 가장 경쟁력 있는 회사임. - Hornbach Bouwmarket BV는 자가 브랜드 제품을 판매하며, 2015년 네덜란드에 새 매장을 두 개 더 오픈한 결과 2016년 급속도로 성장함. - Hornbach 계열 브랜드로는 Bosch, Hitachi, Gardena, Pattfield, MTD (and MTC Black line), WOLF Garten, Worx , AL-KO, FOR-Q 등이 있음.
ㅇ 아래 현황은 Hornbach, Gamma, Praxis, Karwei, Intratuin 등의 유명 매장에서 판매되는 제품 동향을 제시하며, 온라인의 경우 bol.com, wehkamp.nl, coolblue.nl에서 판매되는 제품을 주로 함. - 아래 표의 브랜드는 온라인에서 네덜란드어로 예초기 'grasmaaier'를 검색하면 찾아볼 수 있음.
네덜란드 시장 예초기 현황
주: 유통채널 및 소매 상점에서 최다 유통되는 브랜드는 굵게 표시함.
ㅇ Wolf Garten, Gardena, Bosch가 보편적으로 유통되는 예초기 브랜드임. - 네덜란드 가정의 정원은 대부분 소규모이므로 보행식 예초기 수요가 가장 높기 때문에 위 브랜드는 주로 보행식 예초기를 취급함.
ㅇ 아래 표는 원예 소매 시장 매출 동향을 보여주기 때문에 아래 회사들이 전체 예초기 시장에서 최고 점유율을 차지한다고 볼 수는 없음(예초기를 판매하는 소매 상점과 판매되는 브랜드명은 위에서 언급했음.).
원예 소매 시장 점유율 현황 자료원: euromonitor.com
□ 관세율, 수입규제, 인증
ㅇ 관세율 - 유럽위원회 수출 헬프 데스크(The Export Helpdesk of the European Commission)에 따르면, 한국으로부터 수입하는 전기 예초기(HS Code 8433111)에 대해서는 수입관세를 부과하지 않음. - 2011 한-EU 자유무역협정(FTA) 결과, 이 품목에 대한 수입관세율은 0%로 보고됨. - 네덜란드에서 소비재에는 보통 부가가치세(VAT) 21%가 적용됨.
ㅇ 수입규제 - 유럽위원회 수출 헬프 데스크에 따르면, HS Code 843311에 해당하는 예초기에 대해서는 특별한 수입 요구사항이 없음. - 그러나 세부 조사에 따르면, HS Code 84331110에 해당하는 전기 예초기는 아래 요구 사항을 만족시켜야 함. · 전기전자제품에 대한 시장 요구사항 · 전자파 적합성(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기술 표준(전기전자 제품에만 요구됨) · 저압 전기제품 기술표준(50~100V 교류 전압과 75~1500V 직류 전압에서 사용하도록 설계된 전기 제품에만 요구됨.) · 기계 안전부품 기술표준 - 위 요구 사항과 관련한 자세한 정보는 아래 주소의 'specific requirement'에서 열람 가능함. =null&simDate=20170722&languageId=en&cmd=chap&taricCode=8433111000&partnerId=KR&reporterId =NL&simulationDate=22%2F07%2F2017&submit=Search
ㅇ CE 인증 - 예초기는 반드시 CE 인증을 받아야 함. - CE 마크는 유럽연합 이사회 지침 요구 사항을 모두 만족한다는 것을 뜻하며, 전기 제품 등의 상품은 CE 인증이 필요함. - CE 인증이 품질 보증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안전, 환경, 소비자 보호와 관련해 기본 조건을 충족한다는 성격이 강함.
□ 시사점
ㅇ 네덜란드 소비자들은 예초기 구매 결정 시 편리성과 합리적인 가격을 중시하며 상품의 가격과 사양을 비교·분석함. - Hornbach, Gamma 등 오프라인 매장은 온라인보다 다양한 예초기 모델과 가격 조건을 제시함. - 온라인 매장의 경우 bol.com, coolblue.nl가 다양한 범위의 예초기 상품과 브랜드를 제공하는 대중적인 유통채널임.
ㅇ 2016~2021년 사이 예초기 매출은 6.4%까지 성장할 것으로 기대됨. - 보행식 예초기 매출은 4.8%, 로봇 예초기 매출은 41.3%까지 증가할 것임. - 로봇 예초기는 사용이 편리하며, 일반적으로 보행식 예초기보다 가격이 높음. 하지만 합리적 가격의 기술 혁신적 로봇 예초기에 대한 기회는 열려있음.
향후 5년 예초기 모델별 매출 전망
자료원: euromonitor.com, bol.com, hornbach.nl, praxis.nl, intratuin.nl, gtis.com, exporthelp.europa.eu, tarief.douane.nl, coolblue.nl, consumentenbond.nl, KOTRA 암스테르담 무역관 자료 종합
|
※카브레타 작동 원리
1. 연료는 중력의 힘으로 연료탱크에서 연료코크를 통해 니들밸브와 니들밸드시트 틈을 통해 플로트
체임버로 유입이 된다.
2. 연료가 플로트 체임버로 유입되기 시작하면 플로트가 서서히 부상하여 결국은 니들밸브시트를 밀어올려
연료의 유입이 끊어지게 되며 이런 과정을 통해 플로트 체임버 내 연료는 항상 일정량을 유지하게 된다.
3. 메인제트에서 계량된 연료는 스로트밸브의 상하운동과 벤츄리부의 공기 유속에 따른 흡입력에 의해
제트니들과 니들제트 틈을 통해 니들제트로부터 분출되어 혼합기의 형태로 실린더로 유입이 된다.
※시동 거는 방법
1. 혼합유를 연료통에 유입하고 카브레타의 연료코크를 수직으로 연다
2. 에어크리너의 초크레버를 수직 위로 올리고 리코일 스타터를 당긴다.
시동이 걸리면 초크레버는 엔진의 상태를 보면서 서서히 수직 밑으로 내린다.
엔진이 뜨거운 상태에서는 초크레버를 수직으로 내린 상태에서 리코일 스타터를 당겨도 무방하다.
3. 주의점은 연료가 과다 흡입되어 시동이 곤란하게 될 때는 점화 플러그를 분리하고 연료코크를
닫고 초크레버를 완전히 열고(수직 스로트레버를 완전히 열어 실린더 안의 연료를 소모시킨 후 초크
레버를 완전히 열고 재시동을 건다.
┗ 흘러가네 15.08.30. 11:31 네 점화플러그 빼고 클리너 뿌리고 카브레커 빼고 피스톤 구멍으로 클리너 뿌리고 콘푸레셔도 쏴서 청소하고 시동걸어 엑셀올려 본체를 뜨겁게 달구니 좀 부드러워 지네요. 기계가 오래되고 묵혀두어서 오일이 쩔어서 그런게 아닌가 하네요. 바람개비2 15.09.14. 01:07 윗분 문제의 원인 중 한가지는 오일을 과다하게 넣어면 오일일 헤드쪽으로 올라와 압이차서 시동중이 안당겨집니다. 일당 오일을 빼고 게이지 확인, 플러그 풀고 시동줄 수회 반복 당겨서 헤드에 묻은 오일 낭게 한후 플러그 에어로 불든지 닦아내고 플러그 구멍에도 에어로 불어내고, 카브레타 크리너 한번뿌리고 플러그 끼우고 당기면 시동 걸릴겁니다. |
>
cafe.daum.net/cds.com/NUIs/2 덕수농원
트렉터, 예초기 메뉴얼 2013.11.05
깨끗이 청소한 다음 혼합비율에 맞추어 혼합하여 재보충한다. 2. 카브레타 : ① 연료 코크를 공구를 이용해 반시계방향으로 풀어 보면 혼합유를 걸러 주는 필터가...
예초기 관리 요령을 작년에 HTML 작업하여서 수정 및 첨부가 불편하여 재 편집 해 보았습니다.
여러회원님과 상이한 면도 있지만 제가 사용하는 방식으로 편집 하였습니다.
1. 예초기 사용시 주의사항.
1) 연료 주입시 엔진오일 비율을 정확하게 혼합하여 주입한다. 3) 연료통 캡이 헛돌면 수리보수 하여 사용한다.
4) 예초기 주위에서 담배나 인화성 물품을 사용하지 않는다.
먼저 예초기날을 바닥에 닿지 않도록 안전한 장소에 놓고 시동을 건다.
3. 정지. 예초기 작업 방법은 안전에 유의하면서 오른쪽에서 왼쪽 방향으로 작업한다.
1. 에어클리너 커버를 열면 스폰지에 오일이 젖어 있으도 시동불능...
윗 방식처럼 하여도 시동이 걸리지 않으면 99.9% 보관시 2사이클 엔진오일 혼합되어 있는 휘발유를 그냥 방치하여 오일이 노즐미세 구멍이 막혀서 시동불능이겠지요.
저도 이 방법을 몰라서 싸리버섯님께 조언을 받아서 분해 해 보니 쉽게 작업이 이뤄지네요.
본체와 분리한 카브레타 피스 두개를 풀면 노란 신주 노즐을 풀어서청소해 주면 되는데...
가장 쉬운방법은 노즐내 이물을 가스토치 및 버너등으로 태우면 가장 간단하게 청소가 되겠지요.
5. 주로 사용하는 예초기날 종류 및 조립
60P 원형톱날 (시중에 90% 40P) 주로 잔디 절단용 컷트줄날
2중 컷트 안전날 3중 컷트 안전날
원형톱날은 60P 콩 수확시 사용을해 보니 10mm 철근말목도 쉽게 절단되고, 일반 밭둑 및 벌초시 망국대 및 거칠 잡목풀은 접시형 원형톱날 40P를 사용하니 돌에 부딪히는 위험요소가 많이 감소 됨. 물론 2컷트 3컷트 안전날도 화단 잔디등에 유용하게 사용 됨.
줄컷트 날은 잔디 전용과 거칠 풀 산소 벌초 작업 후 마무리 작업용으로 사용하니 아주 깨끗 함.
조립시 회전방향 및 상하 확인하여 순서에 준하여 조립
날 교환 방법은 일반 나사산과 반대 방향 입니다.
반대로 예초기 날을 풀어야 될 경우에는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되지요.
6. 손질 및 보관 방법
상부 사진과 같이 어뭉치를 풀어서 청소 한후 구리스를 교체 해 줘야 합니다.
1. 시동을 걸고 기름 콕크를 잠그면 카브레타 내 기름을 완전연소 시킨다. 가야 되겠지요.......... 3. 장시간 사용으로 각 볼트.너트 피스가 풀어졌는지 드리이버로 확인한다.
7. 예초기 이동시 (핸들 분리 방법)
승용차 드렁크에 싣고 다니기가 불편하면 핸들을 왼쪽으로 돌려서 풀고 콕그를 당겨서 손잡이 연결대를 분리한다.
혹 산으로 이동시 콕크가 빠지지 않도록 스패너 및 작은 몽키로 조임확인하고,
조립시 1번 구멍에 콕그 연결을 잘 맞춰서 약간 흔들어 주면 구멍에 안착되면 핸들을 우측으로 돌려 연결부위를 단단히 고정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