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blog.naver.com/tmphones/220791614580


세상에서 제일 쉬운 카카오톡 계정 만들기 / 카카오톡 백업&복원하기

 

안녕하세요. 토마스 모발폰입니다.


요즘은 문자, 전화보다 카카오톡 대화가 더 많으시죠? 


핸드폰을 초기화 하시거나 바꾸실때마다 카카오톡도 다 지워지셔서 불편하셨을 분들에게

오늘은 카카오톡 간편하게 백업&복원 하실 수 있는 방법 알려드릴게요!






제일 처음,

카카오톡 계정이 없으신 분들은 카카오톡 계정을 만들어 주세요.


카카오톡 계정을 만드시면

친구목록, 구입한 아이템, 카카오톡 아이디, 프로필 이미지, 상태 메세지 등이 다 넘어옵니다. 







여기서 주의하실점은, 

카카오톡 계정은 한 개의 전화번호에서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새로운 기계에서 카카오톡 계정을 만드시는 것 보다,

이전 기계에서 먼저 만드신 후, 모든 것을 백업하시고 

새로운 기계에 카카오톡 계정을 로그인 하시면 훨씬 간편하게 옮기실 수 있어요."




새로운 기계에서 로그인하시면 전에 사용하던 카카오톡은 자동으로 탈퇴됩니다. 






카카오톡 계정 만들기



1. 카카오톡의 더보기, 카카오 계정을 선택 해 주세요. 





2. 새로운 계정 만들기를 선택 해 주세요. 





3. 카카오톡 계정으로 사용할 이메일과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완료 버튼을 터치 해 주세요.





4. 계정에서 입력한 이메일 주소를 재확인 해 주시고, 전송을 클릭한 후, 

메일에서 받은 인증코드를 입력 후 확인을 눌러주세요, 


 




5. 메일에 첨부된 링크를 클릭하여 계정 등록을 마무리 해주세요. 


 




6. 카카오톡 계정 확인 안내창에 확인을 클릭 해 주세요. 


 




7. 카카오톡으로 돌아가시면 계정이 생성된걸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렇게 카카오톡 계정을 만드신 다음에,

대화 내용을 백업 해 주시면 되세요. 


카카오톡 대화내용 백업 주의사항을 알려드리겠습니다.


a_bosss_life-8





1. 사진, 동영상 파일 형태의 메세지와 1000자 이상의 장문 텍스트는 백업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2. 비밀채팅 및 오픈채팅의 메세지, 플러스 친구 및 옐로 아이디 메세지도 백업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3. 백업 파일의 유효기간은 14일이며 이 기간내에 복원을 하지 않으면 백업 파일은 자동으로 삭제됩니다. 


4. 꼭 이전 기계에 등록된 카카오톡 계정 아이디로 로그인 해 주셔야 백업이 가능합니다.


5. 카카오톡 계정을 탈퇴하면 복원이 불가능합니다.










카카오톡 대화 내용 백업 & 복원하기




1. 카카오톡에서 더보기를 클릭하신 후, 오른쪽 상단에 설정을 클릭 해 주세요.






2. 카톡 설정 메뉴에서 스크롤을 쭈욱 내리시고 대화 백업을 선택 해 주세요.






3. 맨 위에 대화 백업하기를 눌러주세요. 


 





4. 백업용 비밀 번호를 설정 해 주세요. 

잊어버리시면 복원이 불가능하니 꼭 기억 해 주세요!






5. 비밀번호를 설정하고 확인을 누르면 자동으로 대화 내용 데이터가 추출됩니다. 






6. 대화 백업이 완료되셨으면 오른쪽 상단에 완료를 눌러주세요.






백업 하셨으면 이제 새 기계에 카카오톡을 설치 해 주시고,

카카오톡 계정으로 로그인 해 주세요.


계정으로 로그인 하시면 대화 복원하기 화면이 보이실 거예요,




7. 이 화면이 보이시면 복원하기를 눌러주세요,


 





8. 이전 기계에서 백업하셨을때 정하신 비밀번호를 입력 후 확인을 눌러주세요.


 





9. 100%에 도달하면 대화 내용은 모두 복원됩니다. (사진,동영상,장문 제외)


 






복원이 완료 된 후 카카오톡에 들어가시면 

이전 기계에서 사용하셨던 카카오톡 그대로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line_characters_in_love-15






앞으로 기계 바꾸실때마다 번거롭게 하나하나 등록하실 필요 없이

카카오톡 계정을 만드셔서 대화 내용 백업하시고

간편하게 카카오톡 옮겨보세요! 


 

https://blog.naver.com/sshaniwon/220662233141


 

카톡 카카오톡 대화내용저장 백업하여 옮기기 ( 핸드폰 기기변경시)

2016. 3. 23. 14:
카톡 카카오톡 대화내용
저장백업하여 옮기기
( 핸드폰 기기변경시)

얼마전에 핸드폰을 바꾸면서
모든 데이터와 사진들은 
삼성 스마트 스위치 어플을 이용하여
옮겼는데 
카톡 카카오톡 대화내용이
중간에 약간 없어진게 있어서 
카카오톡을 다시 깔면서 방법을 공유합니다.

http://gfmarket.phinf.naver.net/nahumkim_01/original_3.png", "packCode" : "nahumkim_01", "seq" : "3", "width" : "185", "height" : "160"}">스티커 이미지




카카오톡 대화내용 백업하여
옮기기 시작합니다. 

카톡 카카오톡 어플을 실행합니다. 

우측상단의 점이있는부분을 클릭해요 

우측의 톱니바퀴 모양 클릭

실험실로들어가세요 !!

대화내용백업 클릭!!

비밀 번호 설정하고 
확인 누르면 백업이 완료됩니다. 

확인을 누르면 대화내용
백업되어 있는 파일이 나옵니다. 

이제 파일을 찾아서 새로운 핸드폰을 옮겨야 하니까 파일을 찾으러가야해요^^
내파일클릭

디바이스 저장공간에 가면 

카카오톡 클릭하고 
백업폴더 안으로들어가면

백업파일이 있습니다. 
이 백업파일을 길게 누르고있으면

우측 상단에 공유라고 하는 탭이있어요
공유 탭을 누르면 공유할수 있는
방법들이나와요
근거리에 핸드폰이 두대가있는경우는
블루투스를 이용하고
멀리있는경우는 네이버 클라우드나 메일을 이용하면될것같습니다. 

받게되면

받은 핸드폰에서는
내파일 - 다운로드 기록
그 폴더안에 들어가면
대화내용백업파일을 찾을수 있습니다. 

파일을 다운받아놓은 상태에서 카카오톡을 
설치하게되면 자동으로 이전 대화내용이 반영되어 나옵니다. 

카카오톡이 이미 설치된후에는
대화내용 백업파일 자동인식이 안돼요! 
이미 설치된 경우라면 카카오톡을 지우고
파일을 먼저 받은다음
다시 카카오톡을 설치하세요 !!

http://blog.naver.com/sshaniwon/220649401491

>

http://idongmai.wo.tc/455


 



본 게시물을 보시는 분들께 먼저 말씀드립니다.
카카오톡 개발사인 다음카카오가 안드로이드 카카오톡 5.0.0 버전부터 대화 내용 백업기능을 제한적(사진, 동영상 등을 제외한 텍스트만 이동, 동일 전화번호, 카카오계정 이용 조건)으로 지원합니다. 더보기-설정-실험실-대화 내용 백업을 통해 가능하며 자세한 사항은 해당 메뉴의 대화 내용 백업/복원 도움말 안내를 눌러 확인하여 주시기 바라며 아래 내용은 참고용으로 보존하는 내용임을 알려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다주택자입니다.
이번에는 루팅 없이 카카오톡의 대화기록을 옮기는 방법을 알아보고자 합니다.
루팅을 한다면 그냥 티타늄 백업을 쓰면 되겠지만 루팅이 되지 않았다면 상황이 틀리죠. 그래서 본 강의에서는 adb[각주:1]라고 하는 안드로이드 개발자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어찌보면 악용이지만) /data에 있는 카카오톡 어플리케이션의 정보[각주:2]를 이동시키는 방법입니다.[각주:3]
먼저 시작하기 전에 선행작업으로 기존에 데이터가 있던 휴대폰가 그걸 받을 휴대폰의 USB 드라이버를 컴퓨터에 저장합니다. 그리고 adb를 알맞을 것을 구하여 설치하십시오.[각주:4] 그리고 정보를 받을 휴대폰에 카카오톡을 "설치 만" 하십시오. 그리고 두 휴대폰의 설정을 다음과 같이

개발자 옵션에서 USB 디버깅을 켜주십시오.[각주:5] 만약 안드로이드 버전이 4.2버전 이상인 경우 기본적으로 개발자 옵션이 비활성화 된 상태입니다. 활성화 하려면 휴대폰 정보에서 빌드 번호 항목을 5번 연속으로 누르면 활성화 됩니다. 그리고 나서 정보 제공측 휴대전화의 데이터 연결을 끊습니다.[각주:6] 그리고 이 상태로 제공측 휴대폰"만" 연결합니다. 그리고 명령 프롬프트를 실행[각주:7]하시고 만약 adb 설치가 해당 경로가 시스템 변수 중 Path 변수에 지정된 경우에는 아무 폴더에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adb가 설치된 경로에 접근[각주:8] 합니다.(본 강의에서는 Path 변수에 삽입후 C:\phonebackup이라는 경로를 이용합니다.) 그런 후에

아래와 같이 adb devices라고 칩니다. 그러면

이렇게 나올것입니다.[각주:9] 한개가 뜬다면 진행하시고 두개 이상이 뜬다면 블루스택 등 에뮬레이터를 꺼주세요.

디바이스를 한개로 만들고 다음과 같이 쳐주세요.[각주:10]

그러면 이렇게 됩니다. 휴대폰을 봅니다. 잠금 상태라면 풉니다. 그러면

이런창이 뜰겁니다.[각주:11] 여기서 암호화 비밀번호를 치시고[각주:12] 밑에 데이터 백업을 누릅니다. 그러면 저 상태가 되고 시간이 지나면 컴퓨터의 명령 프롬프트가

이렇게 되면 위에 휴대폰 화면은 닫으셔도 됩니다. 그러면 이상황에서 받을 쪽에서는 카카오톡 인증을 실시[각주:13]하고 카카오톡을 종료합니다. 그후 받을 휴대폰을 연결합니다. 그리고 다시 adb devices를 칩니다.

이렇게 하나가 나오는게 정상입니다.[각주:14] 하나가 나오면

이렇게 칩니다.[각주:15]

그럼 또 이렇게 됩니다.[각주:16] 그러면 또 받는측 휴대폰[각주:17]을 봅니다.

약간 설명이 이상(연결된 데스크톱 컴퓨터에 대한 전체 데이터 백업을 요청했습니다. 백업을 실행하시겠습니까?)하지만 복원 맞습니다. 저 빈칸에는 방금 백업할때 입력한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데이터 복원을 누릅니다. 또 방금 백업 처럼 밑에 입력 대기가 되면

이 역시 종료하고 들어가보면 그대로 이전되어 있을겁니다.[각주:18]

물론 저도 백업/복원을 실제로 진행은 했지만 실제 이전은 아니라서 완전하진 않죠. 저도 휴대폰 바꿀 때 이 방법을 쓸테니 그때 한번 갱신하죠.

그리고 만약에 이 글에 대하여 관련된 회사에서 법적 문제가 있는 경우 즉시 비공개/삭제 조치 하겠습니다.[각주:19]

그럼 이번 글을 마치겠습니다.



 

  1. Android Debug Bridge의 약칭 [본문으로]
  2. 정확히 디렉토리를 말하자면 /data/com.kakao.talk [본문으로]
  3. 사실 이렇게 휴대폰의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다 백업 할 수 있습니다. 이것도 설명 해드리겠습니다. [본문으로]
  4. 안드로이드 개발자라면 다들 설치되어 있을겁니다. 그 애뮬레이터도 이거 기반이거든요 [본문으로]
  5. 본 사진에서는 켜진 상태로 유지가 체크되어 있는데 스크린샷의 용이성을 위해 활성화 시킨 부분입니다.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본문으로]
  6. 이동(정확히는 백업) 중에 정보가 들어오면 꼬입니다. [본문으로]
  7. 시작-실행에서 cmd를 치시거나 시작-모든 프로그램-보조 프로그램-명령 프롬프트를 실행하시면 됩니다. [본문으로]
  8. 아마 잘 모르실거 같으사 설명 드리자면 방법은 cd "접근할 경로 전체"를 입력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C드라이브의 android라는 폴더에 접근한다고 하면 cd C:android를 치면 됩니다. 단 공백이 있는 경우 경로 전체를 ""로 묶으셔야 합니다. [본문으로]
  9. 모자이크 부분이 뭐 영어와 숫자가 혼합된 알수 없는 글자가 나오는데 기기 식별 부분인거 같습니다. 다 가렸습니다. [본문으로]
  10. 만약에 전체를 백업한다고 하면 adb backup -f "백업 파일이름(확장자는 ad)" -all 치시면 됩니다. [본문으로]
  11. 이건 정확히는 백업 진행 시작 후 화면입니다. 안했다면 com.kakao.talk가 안나오고 밑에 버튼도 활성화 상태입니다. 그리고 비밀번호는 뜨고 제가 입력한겁니다. [본문으로]
  12. 안하셔도 되긴 하는데 하시는걸 추천합니다. [본문으로]
  13. 단 정보 제공측에서 인증한 번호와 같아야 할겁니다. [본문으로]
  14. 여기서는 블루스택으로 잡았고요 작업은 VM웨어에 설치된 안드로이드를 이용할겁니다. [본문으로]
  15. 전체 백업 복원도 동일합니다. 다만 kakaotalk.ad 부분을 백업 파일명으로 바꾸시기만 하면 됩니다. [본문으로]
  16. 위에가 깨끗해진거는 VM웨어로 연결하는 삽질이 있어서 이 작업 이전에 cls로 날렸습니다. ^^ [본문으로]
  17. 여기서는 가상머신이지만 [본문으로]
  18. 물론 기존 휴대폰은 자동 탈퇴 처리 되어 있을거고요. [본문으로]
  19. 이 말을 하는 이유는 이게 공식적인 방법은 아니기 때문에(공식적으로는 옮길 수 없습니다.) 법적 문제를 야기 할 수 있어서 쓴 말입니다. [본문으로]



출처: http://idongmai.wo.tc/455 [이동마이의 컴퓨터 하루]



IT동아       

[카카오톡 활용하기] 새 휴대폰에 카카오톡 대화 내용을 옮기고싶다면, 카카오톡 대화 백업하기

남시현


[IT동아 남시현 기자] 몇 년간 사용한 스마트폰을 새 기종으로 교체하는 일은 언제나 흥미진진하지만, 그 과정이 너무나 귀찮다는 것은 누구나 공감할 것이다. 제조사 측 역시 이 점을 인지하고 있는데, 옮기는 과정이 너무 복잡하거나 누락되는 데이터가 발생하게 되면 사람들이 스마트폰 교체를 꺼리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최근 출시되는 스마트폰은 케이블로 두 기기를 연결하거나, 컴퓨터 프로그램을 사용한 백업으로 최대한 이전 기종과 비슷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돼 있다.

LG 모바일스위치를 이용해 새 폰에 데이터를 옮겨담는 모습.

아이폰의 경우, 아이클라우드 및 아이튠즈 백업을 통해 이전 아이폰과 거의 동일한 상태로 백업할 수 있고, 삼성전자는 스마트 스위치 모바일, LG전자는 모바일스위치를 사용해 데이터를 백업할 수 있다. 작동 방법은 '새 스마트폰에 데이터/파일을 옮기는 간편한 방법 - LG 모바일스위치(https://it.donga.com/27619/)' 기사를 참고하길 바란다.

하지만 이렇게 백업을 거치더라도, 이전 기종에 있던 모든 데이터가 온전히 복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자주 쓰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했을 때, 그 기능 안에 저장된 페이지라던가, 단축키 같은 정보는 제대로 이전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다. 카카오톡 역시 모든 데이터를 온전히 옮기기가 쉽지 않은 애플리케이션 중 하나다.

새 스마트폰으로 옮길 경우, 하루 이틀 치 대화 내용만 옮겨가는 카카오톡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기본 백업 기능은 스마트폰 기본 애플리케이션을 중심으로 복구한다. 주로 연락처와 전화 통화기록, SMS 기록, 캘린더, 기존에 사용했던 스마트폰 앱 등을 옮긴다. 반면 카카오톡은 사용 빈도가 높은 애플리케이션이지만, 제조사가 기본으로 설치하는 앱은 아니기 때문에 모든 데이터가 제대로 옮겨지지는 않는다.

카카오톡을 새롭게 설치하고, 백업없이 로그인한 예시. 이틀 치 대화내용밖에 없다.

이해를 돕기 위해 스마트폰을 옮긴 후, 카카오톡을 새로 설치한 상태를 재연해보았다. 카카오톡을 새롭게 설치할 경우, 기존 스마트폰에 연동된 카카오톡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요구한다. 본인 인증과 아이디 확인, 주소록 친구를 자동으로 추가하는 기능을 활용하면 이전 스마트폰에 있던 친구 목록과 대화 내용 일부가 옮겨진다. 문제는 카카오톡을 설치하고 변경된 기기에서 로그인할 경우 짧으면 하루, 길어도 이틀 치 분량의 대화 내용만 옮겨가게 된다.

이는 카카오톡 서버에 저장된 내용만큼만 가져오는 것이기 때문이며, 몇 년에 걸쳐 쌓인 대화 내용을 가져오길 원한다면 별도의 백업 과정을 진행해야 한다.

지금까지 쌓아온 대화 내용을 옮기는 방법, '대화 백업'

대화 백업은 설정 - 채팅 - 대화백업 순서대로 진입한다.

카카오톡 대화 백업 기능은 지금까지 사용해온 스마트폰 내의 대화 정보 중, 텍스트 부분을 서버에 저장한 다음, 새 스마트폰에 불러오는 기능이다. 이 기능으로 백업 및 복원을 완료하면 대화 내용 중 텍스트만 복원되며 사진 및 영상은 복구되지 않는다. 대화/미디어 백업하기 기능은 아직 개발 단계며, 내년 중 서비스를 시작할 것으로 보인다.

가장 첫 순서는 기존에 사용하던 스마트폰의 카카오톡 데이터를 백업하는 것이다. 백업은 카카오톡 우측 상단의 톱니바퀴 버튼을 눌러 '설정'에 진입하는 것부터 시작한다. 설정에 진입한 후 '채팅'을 누르면 최상단에 대화 백업이 있다. 이 버튼을 누르고 '대화 백업'을 실행하면 지금까지 저장된 대화 데이터를 카카오톡 서버에 2주간 저장한다.

백업이 성공적이라면, 새 스마트폰에서 카카오톡 로그인 즉시 복원하기 메뉴가 뜬다.

그다음은 새로운 스마트폰에 카카오톡 대화 백업을 불러올 차례다. 새 스마트폰에 '카카오톡'을 설치한 다음, 기존 스마트폰에 연동돼있던 카카오 ID 및 비밀번호를 입력한다. 만약 백업이 없는 상태라면 이틀 치 대화 정보만 저장되고, 백업이 있다면 위와 같은 '대화 복원하기' 창이 뜬다.

여기서 복원하기를 선택하고, 사전에 백업 시 입력했던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복원 과정에 돌입한다. 이때 소요되는 시간은 저장된 데이터 용량에 따라 다르지만 몇 초에서 몇 분 안에 끝난다. 이제 새 스마트폰에서 과거에 대화했던 내용을 검색할 수 있게 된다.

주의할 점이라면, 백업 할 대화 내용을 선택할 수 없고, 모든 데이터를 가져가야한다는 점, 처음 백업 이후 2주 안에 새 스마트폰 상에서 복원을 해야한다는 점이다. 순서에 잘 따른다면 새 스마트폰에서도 예전 카카오톡 대화 내용을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글 / IT동아 남시현 (sh@itdonga.com)

출처:  https://it.donga.com/29913/


** 카카오톡 업데이트 친구 목록 안뜨게 하는법! [카카오톡 활용하기]

이 게시물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