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식(중식,한식 공통) 조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 CBT  

http://ibooklove.dothome.co.kr/zbxe/537343


양식(중식,한식 공통) 조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 CBT 조리기능사
1 回    2 回     3 回    4 回    5 回    6 回    7 回    8 回    9 回    10 回    
11 回    12 回    13 回    14 回    15 回    16 回    17 回    18 回    19 回    20 回    
21 回    22 回    23 回    24 回    25 回    26 回      *  *  *  *
인터넷책사랑




1 회: 양식조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문제 및 해설 (여러 년도)
2 회: 양식조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6897786)
3 회: 최신 양식조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 [다운로드]
4 회: 양식조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 및 CBT 모의고사(5055085) 1과목 : 식품위생 및 법규
5 회: 양식조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 CBT, 문제지 파일 (2002년부터 2016년까지)


6 회: 양식조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 CBT (2016년 1회까지)    
7 회:조리기능사 필기 합격비법 전수강의(답이색 교재) [공부한수]
8 회:양식조리기능사 필기 독학 후기, 팁,기출복원
9 회: 조리기능사 필기 5시간 벼락치기 무료강의(답이색 교재) [공부한수]
10 회: 조리기능사 필기 1시간 핵심정리(하쌤의 조리기능사 필기)


11 회:2주완성 조리기능사 필기문제 1강
12 회:2주완성 조리기능사 필기문제 2강
13 회:2주완성 조리기능사 필기문제 3강
14 회:2주완성 조리기능사 필기문제4강
15 회:2주완성 조리기능사 필기문제5강


16 회:양식조리기능사 필기 모의고사 1회 1~30번 문제풀이
17 회:양식조리기능사 필기 모의고사 1회 31~60번 문제풀이
18 회:조리기능사 필기 강의-57 시험 3일전 모의테스트(3)
19 회:조리기능사 필기 강의-57 시험 3일전 모의테스트(3)
20 회: 조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 풀이 암기비법 (모두재생)


21 회:조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 풀이 암기비법 (채널)
22 회:2020년 조리기능사 개편된다며???? - YouTube
23 회:하쌤의 양식조리기능사 필기 1회 위생관리1 14페이지
24 회:양식조리기능사필기2회 위생관리2 (22페이지)
25 회:하쌤의 양식조리기능사 필기 위생관리3 29p

26 회: 하쌤의 양식조리기능사 필기 위생관리4 41페이지


동아일보

한국인이 술보다 안주를 더 고민하는 이유 [권대영의 K푸드 인문학]

  • 동아일보

수십만 년 전 인류의 이동 경로와 농경을 보면 서양에선 메소포타미아, 이집트, 아나톨리아반도, 유럽 등에서 밀이 자라고 있었던 덕에 밀을 먹고 사는 농경과 식문화가 발달할 수밖에 없었고, 우리나라는 요하 문명을 기반으로 고조선을 포함한 한반도에 단립종(자포니카)인 쌀이 먼저 자라고 있었기 때문에 쌀을 먹고 사는 농경이 발달했다. 밀가루로 빵을 만들 때는 어느 정도 점성이 강력해야 맛있는 빵을 만들 수 있다. 밀가루의 글루텐이라는 단백질은 소금을 넣으면 점성이 더 강력해진다. 빵이 잘 만들어질 뿐만 아니라 소금이 들어가니 훨씬 맛있어진다. 빵 자체만으로 한 끼를 충분히 때울 수 있다. 그러나 쌀은 밥을 지을 때 소금을 넣지 않기 때문에 쌀밥만 먹어선 한계가 있다. 그렇기에 밥을 맛있게 먹으려면 어떤 다른 무엇의 도움이 필요하다. 즉, 반찬이다. 이 필요성이 밥상 문화를 탄생시킨 것이다.

출처 : 
https://www.donga.com/news/Opinion/article/all/20240418/124551708/1

이 게시물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