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진주차]

  1. A,B차와 50cm 간격으로 진입하여 내 차의 뒤범퍼가 B차의 중간에 이르면 정지한다.

  2. 핸들을 오른쪽으로 끝까지 돌려 후진한다. 이때 A,B차와 닿지 않도록 한다.

  3. 내 차와 A,B차가 수평이 되면 핸들을 정중앙에 놓고 후진하다 정지한다.

    [ 평행주차 ]

  4. A,B차와 1m 간격으로 진입해 내 차와 B차 뒤범퍼가 일직선상에 놓였을 때 정지한다.

  5. 핸들을 오른쪽 끝까지 돌려 후진하다 45도가 되면 핸들을 정중앙에 놓고 후진한다.

  6. B차 뒤범퍼와 내 차 앞범퍼가 만날때쯤 핸들을 왼쪽 끝까지 돌려 후진하다 정지한다.

[전진주차]

    1.  

    2. A,B차와 1m 간격으로 진입하여 사이드미러가 A차의 왼쪽 끝선에 이르면 정지한다.
    3. 핸들을 오른쪽으로 끝까지 돌려 전진한다. 이때 A,B차와 닿지 않도록 한다.

    4.  

      내 차와 A,B차가 수평이 되면 핸들을 정중앙에 놓고 전진하다 정지한다.

      >


      http://blog.daum.net/kinglee60/8107266
      주차하는법

      ▶ 일사천리 후진주차

       

      제대로 주차된 본인차를 몰고 나갈 때, 본인 어깨가 일직선이 되면(붉은색 점선) 핸들을 가고자 하는 방향으로 (그림에서는 왼쪽) 다 감아준 후 밖으로 빠져 나가게 되는데, 이것을 잘 활용하면 원파킹 후진 주차에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먼저 본인차를 이곳에 올려진 주차 방법을 이용하여, 멋지게 주차를 시켜놓습니다.

       

      그 후 본인차에 맞는 원파킹 후진 주차의 위치를 알기 위해 본인 어깨가 일직선이 될때까지 전진합니다. 

       

       

      가고 자 하는 방향으로(그림에서는 왼쪽) 핸들을 다 감은 후 전진합니다. 이 때 핸들을 풀지 말고 계속 감은 상태로 전진하면서 본인 차가 그림과 같이 일직선이 될 때 까지 (Center가 잡힐 때 까지) 계속 전진합니다. 해보시면 옆 차 2대정도 까지 나가게 됩니다. 

       

       

      일직선이 되었을 때 위치를 잘 익혀 놓으시면 반대로 주차를 할 때, 그 위치에서 주차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핸들을 다 감은 후 후진 했을 때 처음에 멋지게 주차한 바로 그 위치로 주차가 됩니다.

       

      저 위치를 자기 자신만의 위치로 정해놓으면 (예, 어깨선,핸들선,문고리선,백미러선,앞문짝틀선,옆문짝 컵홀더선)에 맞추면 항시 수정 없이도 손쉽게 원파킹이 됩니다.

      보통 준중형급인 아반떼,sm3,세라토,라세티 등은 어깨선을 라인에 맞추면 안되고 약간 모자라는 범퍼위치에 맞추면 되고 중형차인 소나타,옵티마,레간자 등은 어깨선이 맞다고 하네요. ^^

       

      ▶ 측면 주차 공식

       

       

       

       

              4.오른쪽으로 핸들을 다감아서 발을 2.5초 들어준후 스톱하고 정렬(오2.5초정렬)

       

                                          

        

       

       

       

       

       

        

                5.범퍼대 범퍼가 가로로 수평이 될때까지 그대로 후진 하다가 수평이 되면 스톱.

                                        

                6.사오정 방향인 왼쪽으로 다감아서 오른쪽 무릎이 앞차의 번호판 정 중앙에 위치해 질때까지 그대로 후진한다.

                                                        


                7.센타가 잡히게 되면 스톱후 핸들을 한바퀴 반 풀어서 정렬후 파킹(P)혹은 이중주차시라면 중립인(N)에 놓는다.

       

          

          

       

       


       
      ▶ 전면 주차 공식

       

       폭이 넓고 두칸 비어있는   경우의 전면 주차공식

       

      위 그림은 투투 건너라 꼭 그래픽 입니다.

      두칸이상 비어있고 폭이 2m 라면  끼고돌 건너편 라인에 내차의 앞유리 꼭지점이 수평이 되게 멈춘 상태로

      핸들을 다감아서 들어가면 일사천리로 전면 주차가 됩니다.

       

      폭이 좁아서 한칸만 비어있는 전면 주차공식.

      1) 주차장 진입시 최대한 반대쪽라인으로 멀리 떨어져서 진입하되 자신의 어깨선과 들어가고자 하는 범퍼나 기둥의 기준과 일치시킴.

      2) 우측주차장일 경우 오른쪽으로 좌측주차장일 경우 좌측으로 완전히 핸들을 감은후 장애물(범퍼혹은 기둥)을 향해 최대한 전진해서 접근.

      3) 핸들을 반대로 완전히 감은후 후진으로 나오는데 정지지점은 본인차의 앞범퍼 중앙부분과 장애물(범퍼혹은 기둥)의 안쪽 모서리와 일치할 때 정지.

      4) 전진으로 들어가면서 맞추되 차의 뒷부분이 기울어져 있다면 차의 앞부분을 최대한 반대쪽 벽 쪽(다른차)으로 붙이듯 핸들을 풀면서 들어가며 맞춤.

      5) 연상기억법으로는 내앞에 깡패가 있다 깡패를 다른말로 어깨라고도 함. 기준이 되는 끼고돌 모서리의 바로옆 주차라인에 어깨를 맞추면 준비완료됨 내 뒤에는 졸개들이 있어서 백이 든든하다(후진주차시 백미러를 끼고돌 모서리의 범퍼모서리에 맞춰서 기준을 정함-꼭지점 공식에서의 경우에 한함)

       

       

       



       

      ▶ 사선 전면 주차 공식(빗어번깨  공식)

       

       빗각 주차는 끼고돌 차의 번호판 위치에 어깨선을 수평이 되게 멈춘 후

      주차 할 방향으로 다감아서 센타가 잡힐때 까지 전진하면 끝,

      폭은2m가 적당함.

       

       

       

      Center가 맞다고 생각하면 핸들을 정렬하고 앞으로 직진하여 남들 세운차와 같이 이뿌게 주차합니다. 아시죠?

      주차 끝

       

       

       

       

      ▶ 짝궁 공식

       

      그림과 같이 화살표 방향으로 후진주차를 하려고 하려고 하는데, 끼고돌 범퍼 쪽으로 너무 가까이 붙어서 접촉이 될거 같으면 짝궁공식을 사용합니다.

      감았던 핸들을 정렬시킨 후, (완전히 감았다면 한바퀴 반 풀어야 겠죠?)

      핸들을 정렬시킨 후 후진을 합니다. 이때 뒷문 손잡이가 끼고돌 범퍼와 일직선이 될때까지 후진을 합니다.

      그 후 원래 끼고돌려고 했던 방향으로 다시 완전히 감아줍니다. (그림은 오른쪽 완전히)

      차가 나란히 일직선이 되면 핸들을 정렬시킨 후 후진 합니다. 주차 끝

       

      부가설명 (그림을 보세요.)

      1번 그림 : 차는 뒷바퀴 중심으로 회전을 합니다. (접촉하겠죠?)

      2번 그림 : 그러므로 회전축을 파란색 화살표 방향으로 뒤로 빼주는 겁니다.

      (뒷문 손잡이가 범퍼와 일직선 되면 됩니다.)

      3번 그림: 회전 축을 뒤로 뺀 후 회전하면서 후진하면 접촉을 피하게 되는겁니다.

      그 후 차가 나란해지면 똑바로 뒤로 후진하면 됩니다.

       

       

      ▶ 점진적붙이기

       

      주차를 하긴 했는데 그림과 같이 한쪽으로 쏠려서 이뿌게 가운데로 옮기고 싶습니다.

      그림에서는 오른쪽으로 평행이동 시키고 싶습니다. (왜? 내 차는 소중하니까)

      오른쪽으로 옮기고 싶으므로 핸들을 오른쪽으로 완전히 감아서 전진합니다.

      (붉은색 방향으로 전진하겠죠?)

      얼마만큼 전진할까요?

      오른쪽 빽미러 (그림 붉은 빽미러)가 나중에 똑바로 위치할 지점입니다.

      핸들을 정렬(왼쪽 한바퀴반)시킨 후 다시 왼쪽으로 반바퀴(180도) 회전시킨 후 전진합니다.

      (초록색 방향으로 전진합니다)

      차가 나란히 일직선이 되면 핸들을 정렬시킨 후 후진 합니다. 주차 끝

       

      *세밀하게 점진적 붙이기 할 때에는 왼쪽으로 붙일경우 운전석 워셔액 구멍이

      맞은편 왼쪽라인의 연장선상에 놓인지점 까지 전진하고 오른쪽 라인 쪽으로 점진적 붙이기

      하려면 맞은편 오른쪽 라인의 연장선상에 조수대 워셔액 구멍이 연장선상에 놓이도록 전진한다.

       

       

      ▶ 청개구리

       

       

      화살표 방향으로 주차를 하려고 하는데 끼고돌 모서리보다 너무 크게 돌아서 반대차량에 접촉할꺼 같으면 청개구리 공식을 사용합니다.

      끼고돌 차랑(오른쪽 흰색)과 접촉할꺼 같으면 짝궁공식

      끼고돌 차량 반대차량 (그림과 같은 왼쪽 흰색)과 접촉할꺼 같으면 청개구리 공식입니다.

      지금상태로는 핸들이 오른쪽으로 감겨 있을겁니다.

      그럼 전진기어(D)넣고 반대로(왼쪽 완전히) 감아준 후 앞으로 약 2초간 갑니다.

      (그럼 빨강색 방향으로 가겠죠?)

      그후 원래 후진할려고 했던 (후진기어, 오른쪽 완전히) 다시 감아줍니다.

      그럼 초록색 화살표 방향으로 움직입니다.

      차가 나란히 일직선이 되면 핸들을 정렬시킨 후 후진 합니다. 주차 끝

       

       

      Center 맞추기

       

      짝궁이나 사오정공식 등등 그외 여러가지 주차공식을 써서 차를 주차시킬 때 그림과 같이 차가 나란히 일직선이 되면 핸들을 정렬하고 그대로 후진을 하면 되는데 내차가 나란히 일직선이 되었는지, 주차라인 가운데 들어왔는지를 보기 위해서는 Center를 맞춰야 됩니다.

       

      Center 맞추는 방법은 차 내부에서 보았을 때 (아래그림) 왼쪽 와이퍼 물 나오는 구멍에 주차라인 가운데를 맞추면 됩니다. 위 그림에서 본인이 주차하고자 하는 라인(보라색)은 보기 힘드므로 정면에 보이는 주차라인(파란색 동그라미 부분)을 보면서 왼쪽 와이퍼 물 나오는 구멍과 맞추면 됩니다.

      왼쪽 와이퍼 물 나오는 구멍은 본인 오른쪽 무릎과 같은 선입니다. 그래서 주행할때도 오른쪽 무릎을 앞차 번호판과 맞추잖아요? 그곳이 차의 가운데 부분입니다.

       >

      http://happyrichblog.tistory.com/73

       초보운전주차하는,평행주차 공식에 맞는 동영상으로 배워봅시다

       

       

      초보운전주차하는법,평행주차 공식에 맞는 동영상으로 배워봅시다


      부자일기 블로그지기는 현재 완전 초보운전자랍니다. 다들 초보운전시절기억나시죠?? 하기야, 꼭 초보운전자들이 아니라도 주차하는 법은 언제나 어렵죠? 주차가 잘 안된다고 하면, 다들 하다보면 몸으로 깨우친다라고 하지만, 몸으로 체득하기까지는 시간도 너무 많이 걸린답니다. 주차가 안되서 초보운전자들이 얼마나 고생하는 지 저도 너무 잘 안답니다.


      그래서 오늘부터 몇 번에 걸쳐서 초보운전주차하는법ㅡ 초보운전주차동영상을 알아볼까합니다. 주차방식이 몇 가지가 있는데요, 그중에서 초보운전주차하는법, 초보운전주차동영상중에서 평행주차공식, 평행주차동영상을 알아볼까 합니다.


      유투브가면 평행주차 동영상  또는 평행주차 공식이 엄청 많이 나오는데요. 그 중에서 제가 운전면허학원에서 시험쳤던 방법과 가장 비슷한 내용을 가져와봤습니다. 조금씩 다르긴 하지만, 초보운전자들은 학원에서 배운 지식이 아직 많이 남아있으니, 학원에서 가르쳤던 방법과 가장 비슷한 초보운전 평행주차하는법을 가져왔습니다.




      초보운전주차하는법, 초보운전주차동영상

      - 평행주차 공식, 평행주차 동영상-



      초보운전주차하는법 (평행주차공식)

       

       

      1. 먼저!주차할 곡간을 확인하고, 출발
      2. 옆차와 나의 백미러가 사선이될때 정지
      3. 핸들 오른쪽으로 끝까지 돌리고, 후진
      4. 내차가 45도가 되면, 정지!
      5. 바퀴를 똑바로 놓고 후진
      6. 핸들을 왼쪽으로 끝까지 돌리고, 다시 후진
      7. 뒷차와 닿을락 말락할때, 정지!!
      8. 다시 바퀴를 똑바로 놓고 나갈때 편하게 앞공간을  많이 띄우세요.


       

       

      여기까지 초보운전주차하는법, 평행주차 공식에 맞는 평행주차 동영상에 대한 포스팅이었습니다. 저를 비롯한 초보운전자분 뿐 아니라, 평행주차에 약하신 많은 분들에게도 큰 도움이 되시길 바라니다.

       

    >
    (1)  http://blog.naver.com/kilkingka/30146724986
    초보운전 주차하는 방법 !!

     

    안녕하세요 드림카팩토리 입니다 ^^

     

    로그인 필요없는 손가락 한방!! 

     

     

      

     

    오늘은 초보운전자 분들이 가장 고민하는 부분중에 하나인

    주차방법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도 신나게 달려볼까요 ^^

    주차에 대해서 알아보기 전에 "공각 지각 능력"이란?

    머릿속으로 사물의 형태, 차원, 비례, 좌표, 동작, 지리

    분석할수 있는 능력을 흔히 공각지각능력 이라고 합니다.

    여성분들은 공간 지각 능력이 뇌 양쪽 반구에 각각 위치해 있찌만

    그면적이 남성분들 보다는 넓지 않습니다.

     

     

     

     

    주차에 가장 필요한 능력이 공간 지각 능력 인데요!!

    많은 초보운전자분들 특히나 여성 초보운전자 분들이

    많은 어려움을 격는 이유중에 하나라고 보시면 될겁니다.

    어떤일이든 숙달이 되시면 물흐르듯 일을 처리하실수 있듯

    주차도 마찬가지 인데요 이제부터 잘 숙지하시고 

    익히셔서 주차의 달인이 되시길 바라겠습니다 ^^

     

    1. 후면주차 방법

     

    후면주차는 보통 공용주차장이나, 마트, 관공서 등에 차를 세울때

    많이 쓰이는 방법인데요 차가 뒤로 도는 회전반경에 대한 감각을

    기르지 않으면 정말 힘든 주차방법입니다.

     

    백화점에서 뒤쪽에 차량이 대기하고 있다면 진땀을 빼게 되는 후면주차

    주차공간이 보이신다면 50cm의 거리를 두고 주차공간 앞쪽으로 진입하세요

     

      


    자그럼 A와 B의 차량가운데에 주차 하신다고 보신다면

    B차량 범퍼중간 지점 에서  핸들을 오른쪽 끝까지 감은후

    후진을 하시면서 진입하세요 A차량과 B차량과 부딪히지 않게 조심하시구

     

    A와 B사이 공간으로 진입하셨다면 차량이 평행에 맞춰지셨다고 보이시면

    핸들을 똑바로 돌려주신후 후진을 해주시면 되겠습니다~

     

    후방감지기가 없는 차량일 경우 옆차의 사이드 미러 위치와

    내차의 사이드 미러위치를 엇비슷하게 주차해주시면 되겠습니다. ^^

     

     

     

     

    2. 평행주차 방법

     

    평행주차는 주로 골목길이나 도로위에 주차를 하실때 많이 쓰일텐데요

    다른주차와는 달리 공식만 알고 계신다면 너무나 쉬운 주차방법이니

    숙지하고 계시면 많은 도움이 되실겁니다 ^^

     

     

     

    B차량과 A차량의 사이에 주차를 하시게 될텐데요

    B차량과 1m의 간격을 두고 평행으로 똑같은 위치해 정지해줍니다.

    진입하려는 방향으로 핸들을 완전히 돌려주신다음에

    후진하면서 B차량과 45도 정도로 되었을때

    핸들을 완전히 풀어 중앙에 위치하게 만들어주세요

     

    핸들을 틀지말고 그상태로 후진하시면서 뒷범퍼가 벽에 닿지 않게

    조심히 후진하도록 합니다.

     

    조수석 앞 범퍼가 B차량의 뒷범퍼를 벗어나게 될때

    핸들을 반대로 끝까지 감으신후 후진하세요

     

    B와 A사이에 차가 들어가게 된다면 앞뒤 간격을 적당히 조절하신후

    주차해주시면 됩니다. ^^

     

     

     

    3. 전진주차 방법

     

    전진주차는 주로 주차라인 뒷쪽으로 화단이나 흰벽이 있는 공간에서

    많이 하시게 될텐데요 후진주차만 하시는 분이시라면

    전진주차를 더어려워 하시는 분들도 계신답니다.

     

     

    A와 B사이의 공간에 주차를 한다고 보신다면

    1m 정도의 평행거리를 두시고 A차량의 끝부분에

    내차의 사이드미러가 맞춰지게 진입을 하세요

     

    핸들을 진행방향으로 끝까지 돌려주신후 A와 B의 차량과

    부딪히지 않게 조심스럽게 공간으로 들어가세요

     

    A와 B차량 사이로 들어서게 되면 핸들을 푸시면서 평행을 맞춰주신후

    앞으로 전진하시며 주차 해주시면 되겠습니다. ^^

     

     

     

    3가지 방법만 숙지하고 계신다면

     





     

    (좀더 간단하게 설명요약본!!)

     

     

    절대로 주차하는게 어렵지 않아요~~

    오늘은 초보운전 주차하는 방법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아보았는데요~

    여러분들도 잘하실수 있으시겠조? ^^

    [출처] 초보운전 주차하는 방법!!|작성자 드림카팩토리

    (2)  http://blog.naver.com/leeroom0508/40154777359

    초보운전 시절...가장어려운것은 주차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특히 마트나 좁은길 주차는 더더욱 자신을 힘들게 하죵..ㅜㅜ

    초보운전 주차방법을 보고 다같이 다른차를 긁고가는 불상사를

    줄여봅시다!!제가 앞장서겠습니다!!!

     

    주차에는 후진주차, 전면주차, 평행주차, 이렇게 3가지가 있습니다^^

    먼저 후진주차부터!!고고싱~~ 

     









    잘 아시겠죠?^^

     

    다음으론 평행주차!!고고싱~~

    평행주차는 거리감만 익숙해지면 의외로 쉬운 주차 방법 입니다^^



    1.자신의 어깨선을 옆차량 브레이크 등과 나란히 맞춥니다.

     

     


    2. 핸들을 외쪽으로 끝까지 감은후 전진하여 자신의 차량 브레이크등과

       옆차량의 브레이크등을 기준으로 정지하거나 옆차와 대략적으로

       나란히 설 정도로 맞추고 정지합니다.

     



    3.핸들을 풀고 다시 오른족 반 바퀴만 돌린후 후진합니다.

     

     

     



    4.사이드 미러를 옆 차량의 브레이크 등에 맞춰줍니다.

       이때 옆 차와의 간격을 30cm정도로 해줍니다.  

       그런뒤 핸들을 왼쪽으로 최대한 돌린후 후진하여 주차해주시면 끝!

       이때 사이드미러로 뒷 바퀴쪽을 보면서

       주차상황을 파악해주는건 기본이겠죠?^^

      

     

     

    다음그림을 보시면서 다시한번 숙지해 보세욤^^



    아시겠죠?

     

     

    다음으론 전면주차!!고고싱~~

     

    전면주차..초보운전자분들 정말어려워하시는 주차방법이죠?

    하지만 초보운전 주차공식만 잘외운다면 잘해내실수 있어요*^^*


     

        여기서 포인트는

        주차지점보다 좀더 앞으로 핸들을 틀어주는겁니다^^

        나중에 후진으로 주차공간을 맞추는 거에욤^^  

     

      

     

     

        좀 아시겠나요?^^;;

        여러분 주차는 어려우면서도 쉬운거에요~

        자주자주 연습하시고~운전하다보면 늘어갈꺼에요^^

    (3)
    http://blog.naver.com/scenek/80185873780

    전용뷰어 보기

    평행주차방법 3탄인데요

    이전에 제가 평행주차방법을 작성했던 것과

    교통안전공단에서 나와 있는 주차공식과 비교해 보면서

    주차잘하는법을 설명해 볼게요

                                                                                                  출처 : 교통안전공단

     

     

    우리나라에서는 보통 도로나 골목에 주차할때는

    대부분 평행주차를 하게 됩니다

    평행주차는 대부분 후진으로 하구요

    평행주차잘하는법의 가장 키포인트는 각도에 유지 입니다

     

    교통안전공단에서 제시하는 방안을 살펴 볼게요

     

    1. 주차되어 있는 차와 1M 정도의 간격을 두고 진입한다

    2. 옆차와 거의 나란히 같은 위치에 있게 되면 정지한다

    3. 오른쪽으로 핸들을 끝까지 돌린다

    4. 후진을 하면서 내차의 중심축이 주차된 차와 사선을 이룰때 핸들을 풀어 정중앙으로 놓는다

    5. 내 차의 앞쪽 모서리가 옆차의 왼쪽 뒷 범퍼와 평행이 되는 부분에서

       차를 멈추고 핸들을 왼쪽으로 돌린다

    6. 그 후 핸들을 풀어주며 벽에 가까이 붙는 느낌으로 후진한다

     

    1 ~ 6번 까지가 교통안전공단에서 제시하는 평행주차방법 입니다

     

    자 그럼 이전에 제가 작성했던 평행주차방법과 비교를 해 볼게요

    약 2탄에 걸쳐서 한번 설명을 해 볼게요

    그럼 평행주차방법 3탄과 평행주차방법 4탄이 되겠네요

     

    평행주차방법 1탄에서는 항상 교통안전공단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주차하려는 차와 1M 정도의

    간격을 두고 진입하는 것입니다

     

    이점은 평행주차방법 1탄을 읽어 보신 분이라면 다 아실 거에요

     

     

     

     

    두번째로는  교통안전공단에서 제시하는 두번째 방안에서는

    옆차와 거의 나란히 같은 위치에 있게 되면 정지한다는 것인데요

    제가 작성한 평행주차방법은  주차하려는 차의 꽁무니가

    내차의 운전석과 일치 할때 정지한다고 되어 있네요

    위에 사진을 참고하시면 될 거에요

     

    교통안전공단에서 제시하는 세번째 방법으로는

    정지한 상태에서 오른쪽으로 핸들을 끝까지 돌리는 것이었구요

    제가 평행주차방법 2탄에서 작성했던 것은

    핸들을 오른쪽으로 돌려서 천천히 전진해서

    내차의 사이드 미러에서 옆차의 뒷범퍼가 보이면

    정지하는 것이었습니다

     

     

     

    자 여기까지 설명한 것을 보면 눈치 빠른 분들은 아실텐데요

    주차공식은 주차공식일 뿐이라는 것입니다

    우리가 주차공식대로 평행주차방법을 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제가 평행주차방법 1탄과 2탄을 작성한 대로

    주차하신 분들도 거의 없구요

    교통안전공단에서 작성한 주차공식 대로

    주차하신 분도 거의 없어요

    주차는 감으로 하는 것입니다

    단지 주차공식은 주차원리를 배우는 공간 입니다

    우리가 머리 속으로 아 이렇게 되면 이렇게 주차가

    되겠구나 하고 배우는 것이라는 것을 아셔야 합니다

    오늘은 교통안전공단에서 제시한 평행주차방법과

    제가 이전에 작성했던 평행주차방법을 비교해 보았는데요

    다음번에 주차공식에 대해서는  마무리를 하겠습니다

     

    자 그럼 주차공식을 배웠다면 어떻게 주차를 능숙하게 할 수 있을까요

    그건 계속해서 운전을 해보면 능숙하게 됩니다

    단 바퀴정렬을 정확하게 아시는게 무엇보다도 중요합니다

    우리가 아래 사진과 같이 바퀴정렬을 잘 모를때는

    창문을 내다보며 바퀴가 어떻게 되었는지를 보게 됩니다

    이런 경험은 전부 가지고 있을 거에요

    우리가 주차를 할때 일자정렬로 올바로 주차했다고 생각했는데

    막상 와서 보면 주차가 삐뚤삐뚤 되어 있는걸

    많이 경험 했을 것입니다

     

     

     

    자 그럼 어떻게 하면 바퀴 정렬을 알 수 있을까요?

    현재 나와 있는 가장 좋은 주차도구는

    휠아이 입니다

     

    창문을 내다 보지 않고도

    바퀴가 일자정렬이 되어 있다면

    운전석에 붙어 있는 휠아이의 바늘침도 정확히 12시를

    가리키네요

     

     

     

     

     

     

     

       바퀴가 오른쪽으로 많이 휘어져 있다면

       운전대에 붙어 있는

       휠아이의 바늘침도

       오른쪽으로 많이 휘어 있네요

     

     

     

     

     

     

     바퀴가 왼쪽으로 조금 휘어져 있다면

     운전대에 붙어 있는

     휠아이의 바늘침도

     왼쪽으로 휘어져 있네여

     

     

     

     

    오늘은 평행주차방법 4탄인데요

    이전에 작성했던 평행주차방법과 교통안전공단에서 제시된

    평행주차방법을 비교해 보았구요

    우리가 주차공식을 아는 것은 원리를 이해하는 것 뿐이지

    주차공식대로 주차를 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아시구요

    주차공식은 단지 원리를 이해하는 것일 뿐입니다

    (4) http://blog.naver.com/kazu1119/140153674525

     

     행복한 중고차 고민 네버카 최용은 과장입니다.

    오늘은 주차방법 에대한 첫번째 포스팅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주차방법을 알아봅시다 
     

    대부분 운전자들의 가장 취약한 부분이 바로 주차부분입니다. 공간의 여유가 비교적 넓으면 상관이 없으나

     서울과 같은 인구 밀집지역에서는 공간의 여유 거의 없는 상태에서의 주차이기 때문입니다.

    주차 하실 때 다른분이 계시다면 뒤를 봐주면 되지만 혼자서 주차를 하시려면

    좌우측의 백미러를 활용해서 주차를 하셔야 합니다.

     백미러의 거리는 실제의 거리보다 멀게 보이므로 주의 해야합니다. 백미러 보는데 자신이 없다면

    차창밖으로 머리를 내밀어 뒤를 보면서 천천히 후진을 하여 주차를 하시면 됩니다.

    주차를 쉽게 하는 방법 진입하기전에 주차할수 있는 차량길이의 1/2정도 공간을 확보합니다.

    차량의 주차는 앞으로의 주차보다 후진 주차가 쉬우니 차를 앞으로 뺀후 후진으로 주차를 합니다.

     천천히 후진을 하면서 회전하는 동안 다른차량에 간섭을 받는지 확인하면서 주차를 합니다.

     

    주차라인에 주차할 때 옆에 차량이 문을 열 경우 차량에 손상이 가지 않을 정도의

     차간 거리를 띈후 일직선 주차를 하면 됩니다.

    만약 삐뚤게 주차를 하였다면 다시 앞으로 뺐다가 다시 주차를 하여야 합니다.

     

    주차라인이 있는 곳에서 타이어가 주차라인을 벗어났다면 주차위반으로 단속될 수도 있습니다.

    언덕길에 주차하실때는 보통 사이드 브레이크만 사용하는데 만약 사이드 브레이크가 밀린다면

    그대로 차량이 밀려 사고의 위험성이 있으니 언덕길 주차때는 앞쪽이 높다면 전진 1단기어를 넣어놓으시고

    뒤쪽이 높다면 후진(R)기어를 넣어놓으신 상태에서 사이드 브레이크를 사용하면

    브레이크와 기어를 함께 사용함으로써 제동성을 높일수 있습니다.

     

     더욱 확실하게 하신다면 타이어 밑에 지짐목을 설치하시면 더욱 확실합니다.

    주차 자체는 계속해서 반복을 하셔야 실력이 느는것이므로 못한다고

    다른사람보고 주차를 해달라든가 하지 마시고 직접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하다보면 달라진 모습을 보실수 있을 겁니다.

     

     

     

     

     

     



     종렬주차(세로주차)쉽게 하는 요령


    대부분의 노상 주차장은 주차 면적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종렬주차를 하도록 돼 있다.

    그러나 종렬주차는 운전경력이 짧은 운전자들에게는 매우 힘든 주차방법이다.

     

    앞.뒤로 세워져 있는 자동차 사이로 들어가 정해진 자리에 반듯하게 차하는 것은 생각만큼 쉽지 않다.

    더구나 종렬주차는 자동차를 후진해서 들어가야 하므로 여간 힘든게 아니다.

    그러나 후진으로 차를 세우고, 후진시 정확한 핸들링 방법만 알고 있으면 쉽게 종렬주차할 수 있다.

    1.주차할 공간앞에 세워진 자동차와 평행이 되도록 나란히 차를 세운다(운전자가 볼 때 종렬 주차하도록 돼 있는 경우)

    2. 옆차의 뒷범퍼 모서리 부분이 내 차의 뒷바퀴와 일치했을 때 핸들을 천천히 왼쪽으로 돌려준다.

     

    이때 옆차의 뒷범퍼에 차체가 닿지 않도록 주의한다.

    3. 옆차의 뒷범퍼와 내차의 운전석이 일치되면 핸들을 오른쪽으로 천천히 풀어주면서 주차할 공간으로 들어간다.

    핸들을 오른쪽으로 돌릴 때 옆차의 뒷범퍼와 내 차의 앞부분이 닿을 수 있으므로 차창 밖으로 고개를 내밀고

    눈으로 전후 좌우를 직접 확인하면서 핸들을 돌려야 한다.

    4. 차에서 내려 앞차와의 간격을 살핀다. 간격이 너무 좁으면 내 차로 인해 다른 차가 나가지 못해

    차를 빼는 과정에서 내 차에 손상을 입힐 수도 있으므로 연락처를 남기는 것을 잊지 않는다.

    또 차문을 잠글 경우에는 기어를 중림에 놓고 사이드 브레이크를 풀어 놓는다..

     

     

     

     


    횡렬주차(가로주차) 쉽게 하는 요령



    종렬주차보다 비교적 쉬운 주차방법이 횡렬주차다.

    백화점, 빌딩 지하주차장, 대형 야외주차장 등에서 흔히 하는 주차 방식이다.

    횡렬주차 역시 차 뒷부분부터 들어가도록 한다. 이때 주의할 점은 한 번에 바로 주차하려 하지 말고

    두세 번쯤 앞뒤로 왔다갔다 하면서 주변 차와의 적절한 주차간격을 유지해야 하나.

     

    (운전자가 볼때 우측으로 횡렬주차하도록 돼 있는 경우)

    1. 주차시킬 공간을 보면서 서행후진한다

    2. 차를 우측으로 붙인후 주차공간 입구에서 70-80cm떨어진 곳과 내 차의 뒷범퍼와 평행이 되도록 한다.

    3. 시선은 뒤쪽을 보면서 후진하고, 이때 변속레버는 R에 놓는다.

    4. 핸들을 오른쪽으로 돌리면서 주차공간 우측코너에 내 차의 우측 뒷바퀴를 바짝 붙인다.

    이때 뒤쪽을 보면서 주차시킬 공간 중앙에 차가 위치하도록 방향을 잡는다

    5. 안쪽 끝까지 바짝 후진하면서 중앙에 주차시키면 된다. 나올 때는 변속레버를 D에 놓고

    핸들을 왼쪽으로 돌려 서서히 출발하면 된다.

     

     

     

     


    길의 폭이 좁고 양쪽이 벽으로 돼 있는 곳에 주차



    길이 좁고 진입로가 까다로운 장소에 차를 주차할 경우에는 차 머리부터 넣는 전진 주차가 적당합니다.

    또 사선으로 그어진 주차선 안에 차를 주차시킬 때도 역시 전진주차가 좋습니다.

    좁은 공간에 주차를 할 때 후진주차를 하면 얼굴을 내밀고 뒤쪽을 살펴야 하기 때문에 귀찮게 되지요.

    밤이나 혹은 트렁크 안에 있는 짐을 꺼낼 때도 전진주차가 편리합니다.
    이 주차방법은 특별히 주의할 것은 없지만 공간이 좁으므로 줄을 그어 놓은 공간의 중앙에 세워놓는 것이 좋습니다.

    왼쪽이든 오른쪽이든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면 차문을 열기 힘들 뿐 아니라

     옆에 세워 놓은 차에게도 방해가 되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이런 주차장은 대부분 일방통행인 도로에 설치된 경우가 많으므로 나올 때 뒤를 잘 살펴보아야 합니다.

     

     

     

     


    언덕길에 주차시킬 때


    언덕위에 차를 세울 때는 이중 삼중의 안전장치를 해놓아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오르막길에 주차를 할 때는 기어를 중립에 넣고 핸드 브레이크를 당깁니다.

    그리고 시동을 끄고 클러치를 밟은 다음, 기어를 1단에 넣으면 됩니다.
    반대로 내리막길에서는 오르막길에 주차할 때와 방법은 비슷하나, 기어를 1단대신 후진기어를 넣어야 합니다.

    오토매틱차는 오르막이든 내리막이든 변속레버를 P레인지에 놓고 핸드 브레이크를 당기면 됩니다.

     마지막으로 바퀴 밑에 돌맹이를 받쳐 놓으면 더욱 안심할 수 있겠지요.

     

     


     


     주차를 해서는 안되는 곳과 주차시 꼭 알아야 할 점


    길 모서리나 언덕길 정상부근, 병원이나 관공서, 아파트 같은 공공건물의 출입문 앞에 주차를 해서는 안됩니다.

    그리고 2차선 미만의 좁은길에서는 대각선으로 주차하거나 이중으로 주차하는 행위를 삼가야 합니다.


    또 추운 겨울철에 주차할 때는 될 수 있는 대로 핸드 브레이크를 당기지 말아야 합니다.

    대부분의 핸드 브레이크는 와이어를 통해 효과를 발휘하는데, 이 와이어는 차체 밑바닥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추운날 와이어에 물방울이 묻어 얼어붙으면 핸드 브레이크를 풀어도 차가 움직이지 않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기온이 급격히 내려가는 날은 와이퍼를 세워 놓는 것도 잊지 않아야 합니다.
    경사진 곳에 주차할 때는 핸들을 보도 쪽으로 틀어 놓으면 안전합니다.

    부득이하게 위험한 상태로 주차를 했을 때는 비상등을 켜 놓거나 차창에 메모를 남겨 놓도록 합니다. 

      


     

     

    [추석특집] 생활의 달인 - 세상에 이런 달인이? 9/8 (주차의 달인)


    초보 운전자에게 필요한 주차 방법 !!!


     < 출처 ㅣ SK엔카TV >


     

    한국일보


    주차가 어려운 당신을 위한 주차공식 3가지


    http://hankookilbo.com/v/284f84a72c314f82b8c6e0267234d485




    [밀착취재] 주차칸은 30년 전 그대로… '문콕' 빈발 이유 있었네


     

    Daum 

    전승용의 팩트체크

    운전면허 있는 사람이라면 꼭 지켜야 할 5가지 규칙

    전승용 입력 2019.10.18 11:11 수정 2019.10.18 11:13


    ** 초보운전자 쉽고 간편하게 주차하는 방법!

    ** 초보운전 전면주차 & 후면주차 방법? 핸들 돌리는 방향? 공식 말고 감각 키우기!

    ** 후진주차 완벽 총정리


    **  2TV 생생정보 - 평행 주차 쉽게 하는 법!. 20180418

    ** [대발이랑 안전운전딱 두가지 포인트만 기억하세요/ 언제 어디서든 평생 써먹는 만능 평행주차 방법!!

    ** 평행 주차 교본! 4단계로 한 번에 주차하는 공식 - 운전의참견


    IT동아

    [IT하는법] 운전면허 갱신, 인터넷으로도 손쉽게 가능해

    남시현  sh@itdonga.com

    [IT동아 남시현 기자] 2011년 12월 이후 운전면허를 취득한 사람이라면 10년에 한 번씩, 그 이전 면허를 취득한 사람은 7년에서 9년에 한 번씩 면허를 갱신해야 한다. 면허 갱신기간은 보통 1년 내에 해야 하며, 고령 운전자나 취득 기간이 2011년 이전인 경우에는 면허증상 표기된 기간에서 6개월 내에 신청해야 한다. 하지만 1년 내에만 하면 되다보니 많은 사람들이 차일피일 미루다 연말이 되어서야 면허를 갱신하는 게 보통이다.

    운전면허는 7~10년마다 갱신해야 하며, 온라인으로도 신청할 수 있다. 출처=IT동아
    운전면허는 7~10년마다 갱신해야 하며, 온라인으로도 신청할 수 있다. 출처=IT동아

    올해 운전면허 적성검사 및 갱신 대상자인 약 320만 명 중 6월까지 갱신을 완료한 사람은 35만 명인 11%에 불과했고, 약 285만 명이 하반기에 집중 방문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20년과 21년은 대상자 중 약 30%가 11월과 12월에 몰린만큼, 올해도 11월과 12월에 면허를 갱신하는 사람이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도로교통공단 관계자는 “대기인원이 적을 때는 갱신에 약 10분 정도가 걸리지만, 연말에는 대기 시간이 2시간까지 길어지기도 하므로 웹사이트 신청을 적극 이용하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IT하는법을 통해 온라인으로 운전면허를 갱신하는 절차를 알아보자.

    직접 방문보다 온라인 신청이 쉽고 빨라

    도로교통공단 안전운전 통합민원으로 진입해 1종 적성검사 혹은 2종 면허증 갱신을 선택하고 본인 인증을 진행한다. 출처=IT동아
    도로교통공단 안전운전 통합민원으로 진입해 1종 적성검사 혹은 2종 면허증 갱신을 선택하고 본인 인증을 진행한다. 출처=IT동아

    운전면허 적성검사 및 갱신은 전국 운전면허시험장 또는 경찰서에 방문해서 신청하면 당일 수령할 수 있다. 하지만 연말로 갈수록 대상자가 몰리므로 최소 한두 시간은 대기해야할 수 있다. 인터넷으로 신청하면 대기없이 손쉽게 갱신하고 수령만 직접 방문하면 된다. 첫 순서는 도로교통공단 안전운전통합민원 웹사이트를 방문해 로그인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홈페이지 통합 민원에서 중간의 ‘운전면허증(모바일) 발급’을 선택하고 1종 보통 적성검사 혹은 2종 면허증 갱신을 선택한다.

    본인이 소지만 면허증에 맞춰 갱신으로 진입하면 본인인증 과정이 나온다. 본인인증은 카카오나 네이버, KB 인증서 등 간편 인증이나 공동 인증서, 휴대폰 본인인증, 디지털원패스, 아이핀 인증 중 하나를 선택하면 된다. 인증이 끝나면 약관 동의 행정정보가 제공된다. 핵심 내용은 신청 완료 후 접수비를 환불하거나 수령지를 변경할 수 없으며, 반납할 운전면허증을 반드시 지참하고 본인이 수령해야 한다. 또 적성검사를 신청하면 새 운전면허증을 교부받기 전까지 금융기관 및 공공기관 등에서 신분증으로 사용할 수 없다.

    핵심 내용을 모두 확인하고 이용 약관에 동의한 다음, 아래 주민등록번호와 운전면허번호, 집 주소를 확인하자. 개명 및 전입신고로 인해 주소가 변경돼 실제 정보가 다른 경우에는 2~3일 이후에 다시 시도해야 한다. 아래 면허증 분실 여부는 반납할 면허증을 보유하고 있는지 여부인데, 만약 실물 면허증이 없을 경우 온라인이 아니라 직접 운전면허시험장이나 경찰서를 방문해야 한다.

    1종 보통은 2종에는 없는 자기 신고서 및 건강검진 자료 조회 절차가 있다. 2년 이내 건강검진 이력이 없다면 운전면허시험장을 직접 방문해야 한다. 출처=IT동아
    1종 보통은 2종에는 없는 자기 신고서 및 건강검진 자료 조회 절차가 있다. 2년 이내 건강검진 이력이 없다면 운전면허시험장을 직접 방문해야 한다. 출처=IT동아

    참고로 1종 보통은 2종과 다르게 자기 신고서와 건강검진 자료 조회 과정이 추가된다. 자기 신고서는 정신적 질병이나 시력, 청력 등의 신체적 특징을 기재하는 칸이며, 그다음 건강검진자료 결과를 조회해야 한다. 건강검진 자료 조회는 최근 2년 이내 진행한 건강검진 결과 자료를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불러오는 절차며, 이를 토대로 면허증 갱신 결과를 적격 부적격 판정한다. 만약 2년 이내 건강검진을 진행한 이력이 없거나 부적격 판정을 받았을 경우 인터넷 신청이 불가능해 운전면허시험장을 방문해서 갱신해야 한다.

    사진은 6개월 이내 촬영되고, 규격에 맞춘 파일이어야 한다. 사진관에서 운전면허 용도라고 하면 맞춰준다. 출처=IT동아
    사진은 6개월 이내 촬영되고, 규격에 맞춘 파일이어야 한다. 사진관에서 운전면허 용도라고 하면 맞춰준다. 출처=IT동아

    이 과정까지 끝마쳤으면 6개월 이내 촬영한 증명 사진을 업로드한다. 증명 사진은 250kb 이내의 jpg 파일만 사용할 수 있으며, 규격에 맞춰 촬영한 사진만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규격은 △ 복사 및 포토샵 등 수정하지 않음 △ 얼굴 방향 정면 △ 색안경 및 흑백 불가 △ 가로 350 및 세로 450 픽셀 등의 내용이다. 보통 증명 사진을 촬영하는 스튜디오를 방문하면 해당 규격을 모두 맞춰주니, 전달받은 파일을 그대로 ‘사진등록’ 란에 합쳐 넣으면 된다.

    면허증 종류와 국영문 겸용 여부, 수령 위치 및 시간을 선택한다. 출처=IT동아
    면허증 종류와 국영문 겸용 여부, 수령 위치 및 시간을 선택한다. 출처=IT동아

    사진 업로드까지 끝났으면 면허증 종류와 수령지, 날짜를 선택한다. 운전면허증은 IC(모바일) 운전면허증과 일반 카드 형태의 운전면허증 중 선택할 수 있으며, 그다음 라이선스 협약을 맺은 일부 국가에서 인정받는 영문 면허증이 합쳐진 영문(국문겸용) 면허증과 일반 국문 면허증 여부를 추가로 선택한다. 면허증 선택이 끝났으면 면허증을 교부받을 시험장 혹은 경찰서를 선택하고, 방문할 날짜를 선택한다. 방문 날짜는 평일만 가능한데, 운전면허시험장이 토요 근무를 하는 경우에 한해 주말 방문을 신청할 수 있다.

    이후 전화번호와 이메일을 입력하고 수신 동의를 누른다. 만약 앞서 업로드한 사진이 면허 용도로 적절하지 않거나, 이전 사진과 지나치게 다를 경우 이 번호로 연락이 온다. 입력을 마치면 마지막으로 방문 위치와 방문 날짜, 면허, 영문 성명 등 신청 내역을 확인하고 결제한다. 비용은 1종 면허에서 영문 선택 시 1만 5천 원, 국문 시 1만 3천 원이며, 2종 보통으로 갱신 시 영문 1만 원, 국문 8천 원이다. 결제는 카드 결제 및 계좌 이체로 진행할 수 있다.

    전화번호와 이메일 입력이 끝나면 최종 내역 확인 후 금액에 맞춰 결제한다. 면허증 수령 시 기존 면허증은 반납해야 하며, 신청 기간 중 공공기관 및 금융기관에서 신분증 용도로 쓸 수 없다. 출처=IT동아
    전화번호와 이메일 입력이 끝나면 최종 내역 확인 후 금액에 맞춰 결제한다. 면허증 수령 시 기존 면허증은 반납해야 하며, 신청 기간 중 공공기관 및 금융기관에서 신분증 용도로 쓸 수 없다. 출처=IT동아

    결제까지 모두 끝나면 수령지와 수령 날짜에 맞춰 방문해 면허증을 수령한다. 방문 시에는 반드시 반납할 기존 면허증을 들고 방문해야 하며, 본인이 직접 방문하기 어려운 경우 대리인이 구 면허증과 위임장, 대리인 운전면허증을 지참하고 방문해야 한다. 만약 적성기간 및 갱신 기간이 끝날 경우 2만 원에서 3만 원의 과태료가 부과되며, 1종 면허와 70세 이상 2종 면허 소지자는 만료일로부터 1년 경과 시 면허가 취소된다. 또한 수령일까지 약 보름 정도 소요되므로 수령 일자를 감안해서 신청하도록 하자.

    글 / IT동아 남시현 (sh@itdonga.com)

    IT동아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Creative commons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의견은 IT동아(게임동아) 페이스북에서 덧글 또는 메신저로 남겨주세요.
    이 게시물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