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책소개,독후감(인터넷책사랑)
글수 155

매경프리미엄

중국에 흑치국이 있었을까?



 당군의 총지휘관인 소정방은 의자왕을 옥에 가두고 사비성을 노략질했다. 주군의 모욕과 적군의 대약탈! 백제 풍달군의 장군 흑치상지는 항복한 것을 크게 후회하고 백제부흥운동에 나선다.

 그가 거병을 하자 순식간에 모여든 군병이 3만. 무용을 떨치자 200여 성을 회복했다. 자칫 나당연합군의 승리가 무위로 돌아갈 판이었다. 하지만 백제부흥운동을 지도하던 복신과 도침, 부여풍 사이에 죽고 죽이는 살육전이 벌어지고 만다. 이에 염증이 났던 탓일까? 흑치상지는 당나라 유인궤에게 항복하고 칼끝을 돌려 백제부흥군의 토벌에 나선다.

 



뉴스워치

베트남, 흑치상지에서 박항서까지

  • 기자명 어기선 기자
  • 입력 2018.12.07 14:35   


고구려, 백제, 신라와 깊은 관계를 맺어왔던 베트남

‘신당서’(唐書)와 ‘삼국사기’에는 ‘흑치상지’(黑齒常之, 630년 ~ 689년)라는 인물이 기록돼 있다. 백제 의자왕 때 달솔(당시 지방귀족 계급)로 백제부흥운동을 이끌었던 인물이고, 부흥운동이 실패하자 당나라에 항복한 인물이다.

흑치상지를 필리핀 사람으로 인식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당서’에는 백제 서부인으로 돼 있는 광서성(廣西省)에 있었던 흑치국(黑齒國) 사람이거나 흑치국을 봉(封)함받은 백제 사람으로 기록돼 있다.

광서성에 있던 흑치국이라는 기록을 볼 때 필리핀보다는 오히려 베트남 접경지역이거나 베트남 사람인 것으로 봐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다.


출처: http://www.newswatch.kr/news/articleView.html?idxno=16597


*[kbs 역사스페셜]  [93회]   현존하는 최고의 역사서, 800년 논쟁 삼국사기의 진실은?  2000. 11. 18 토 



  • 포브스 코리아

  • 202009호 (2020.08.23) [94]목차보기

    김정웅의 무역이 바꾼 세계사(9) 


    7세기 당나라는 고구려, 백제를 멸망시키면서 백성 수십만 명을 당나라 험지와 전쟁터로 끌고 갔다. 당시 고구려 요동지역에 남은 인구가 2만 명이 못 될 정도로 줄었다. 668년 평양성이 함락당하고 3만 명에 이르는 장군, 관리, 기술자, 예술가, 군인과 백성이 묶인 채 당나라의 내륙 장안(시안)까지 수천 킬로미터를 끌려갔다. 신라로 망명해 당나라와의 전쟁에 합류했던 사람들은 신라인이 되었고, 북만주나 동만주 오지로 탈출한 유민들은 거란, 선비, 말갈 등에 흡수됐다. 힌두쿠시산맥을 넘었던 전설적인 장군 고선지가 이끄는 군대는 상당수가 고구려인이었다. 백제 부흥군을 이끌다가 당나라에 투항한 흑치상지는 당나라 7대 장군의 반열에 오르기까지 했지만 처형당했다. 일부는 극적으로 나라를 부활시키기도 했다. 산둥반도에서 당나라의 존립을 위협했던 이정기 왕국도 고구려 유민세력이 주축이었다. 대조영은 한반도 북부와 남만주에서 발해를 세워 고구려를 계승했다.






    ** [kbs 역사스페셜]   89회  흑치상지 묘지석 1604자의 비밀    2000.10.21. 토






    이 게시물을..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수 추천수 날짜
    155 중증장애인 동료지원가 고 설요한의 삶과 죽음 image
    경향신문
    23611   2020-03-08
    154 무신 정변, 실권 넘어 왕권을 꿈꾸다 image
    중앙선데이
    16093   2021-01-10
    153 칭기스칸의 딸들, 제국을 경영하다 - 잭 웨더포드 image
    조선일보
    20524   2021-10-10
    152 간장에서 고추장으로, 비빔국수의 역사 image
    조선일보
    24954   2013-04-21
    151 노동현장 오롯이… 교도관ㆍ택배기사 등이 펴낸 ‘나의 직업 이야기’ image
    한국일보
    23541   2020-12-14
    150 [인터뷰] '천주교 베스트셀러 작가' 영성 상담가 홍성남 신부, 새 책 '화나면 화내고 힘들 땐 쉬어' image
    조선일보
    35413   2012-08-24
    149 [당신의 유리알] 인도로 간 이방인* image
    가톨릭신문
    3542   2025-04-19
    148 14대 조선 국왕 이연과 조선 군인 이순신 image
    조선일보
    29948   2022-09-18
    147 [조용헌 살롱] [1334] 조선왕조 종말 예언 image
    조선일보
    30871   2022-02-22
    146 서울의 골목길에서는 산이 보인다 - 김인수* image
    한겨레
    17771   2024-10-26
    145 제주 명품 흑고사리 채취해보니 image
    조선일보
    27709   2020-04-26
    144 마태오 복음서 I – 신약성경의 관문 image
    인천주보
    15275   2023-04-27
    중국에 흑치국이 있었을까? image
    매경프리미엄
    26780   2020-12-31
    142 [만물상] 네팔 * image
    조선일보
    1589   2025-09-25
    141 [어제의 오늘]1950년 영국의 소설가 조지 오웰 사망 image
    경향신문
    22025   2020-06-06
    140 유배 이전의 예언서(1) : 아모스, 호세아, 미카, 스바니야, 나훔, 하바쿡* image
    인천주보
    1393   2025-09-20
    139 집회서 – 율법과 지혜의 조합* image
    인천주보
    1412   2025-09-20
    138 지혜서–하느님의 선물인 지혜, 그리고 불멸의 이야기* image
    인천주보
    1384   2025-09-20
    137 [성서] 이사야 예언서* image
    인천주보
    1390   2025-09-20
    136 [김종필 증언록: 소이부답] “후계자로 형님 있잖습니까” 윤필용·이후락 술자리 최후 (53)* image
    중앙일보
    4501   2025-04-12
    목록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