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책소개,독후감(인터넷책사랑)
글수 155

매경프리미엄

중국에 흑치국이 있었을까?



 당군의 총지휘관인 소정방은 의자왕을 옥에 가두고 사비성을 노략질했다. 주군의 모욕과 적군의 대약탈! 백제 풍달군의 장군 흑치상지는 항복한 것을 크게 후회하고 백제부흥운동에 나선다.

 그가 거병을 하자 순식간에 모여든 군병이 3만. 무용을 떨치자 200여 성을 회복했다. 자칫 나당연합군의 승리가 무위로 돌아갈 판이었다. 하지만 백제부흥운동을 지도하던 복신과 도침, 부여풍 사이에 죽고 죽이는 살육전이 벌어지고 만다. 이에 염증이 났던 탓일까? 흑치상지는 당나라 유인궤에게 항복하고 칼끝을 돌려 백제부흥군의 토벌에 나선다.

 



뉴스워치

베트남, 흑치상지에서 박항서까지

  • 기자명 어기선 기자
  • 입력 2018.12.07 14:35   


고구려, 백제, 신라와 깊은 관계를 맺어왔던 베트남

‘신당서’(唐書)와 ‘삼국사기’에는 ‘흑치상지’(黑齒常之, 630년 ~ 689년)라는 인물이 기록돼 있다. 백제 의자왕 때 달솔(당시 지방귀족 계급)로 백제부흥운동을 이끌었던 인물이고, 부흥운동이 실패하자 당나라에 항복한 인물이다.

흑치상지를 필리핀 사람으로 인식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당서’에는 백제 서부인으로 돼 있는 광서성(廣西省)에 있었던 흑치국(黑齒國) 사람이거나 흑치국을 봉(封)함받은 백제 사람으로 기록돼 있다.

광서성에 있던 흑치국이라는 기록을 볼 때 필리핀보다는 오히려 베트남 접경지역이거나 베트남 사람인 것으로 봐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다.


출처: http://www.newswatch.kr/news/articleView.html?idxno=16597


*[kbs 역사스페셜]  [93회]   현존하는 최고의 역사서, 800년 논쟁 삼국사기의 진실은?  2000. 11. 18 토 



  • 포브스 코리아

  • 202009호 (2020.08.23) [94]목차보기

    김정웅의 무역이 바꾼 세계사(9) 


    7세기 당나라는 고구려, 백제를 멸망시키면서 백성 수십만 명을 당나라 험지와 전쟁터로 끌고 갔다. 당시 고구려 요동지역에 남은 인구가 2만 명이 못 될 정도로 줄었다. 668년 평양성이 함락당하고 3만 명에 이르는 장군, 관리, 기술자, 예술가, 군인과 백성이 묶인 채 당나라의 내륙 장안(시안)까지 수천 킬로미터를 끌려갔다. 신라로 망명해 당나라와의 전쟁에 합류했던 사람들은 신라인이 되었고, 북만주나 동만주 오지로 탈출한 유민들은 거란, 선비, 말갈 등에 흡수됐다. 힌두쿠시산맥을 넘었던 전설적인 장군 고선지가 이끄는 군대는 상당수가 고구려인이었다. 백제 부흥군을 이끌다가 당나라에 투항한 흑치상지는 당나라 7대 장군의 반열에 오르기까지 했지만 처형당했다. 일부는 극적으로 나라를 부활시키기도 했다. 산둥반도에서 당나라의 존립을 위협했던 이정기 왕국도 고구려 유민세력이 주축이었다. 대조영은 한반도 북부와 남만주에서 발해를 세워 고구려를 계승했다.






    ** [kbs 역사스페셜]   89회  흑치상지 묘지석 1604자의 비밀    2000.10.21. 토






    이 게시물을..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수 추천수 날짜
    75 [숨어있는 세계사] 창문 막힌 영국식 건물, 세금 때문이래요 image
    조선일보
    26912   2020-05-03
    74 [신문은 선생님] [숨어있는 세계사] 도로와 중앙 집권 image
    조선일보
    14645   2023-08-03
    73 미국인의 역사Ⅰ·Ⅱ - 폴 존슨* image
    국민일보
    3525   2025-04-20
    72 미켈란젤로, 생의 마지막 도전 - 윌리엄 E. 월리스 image
    조선일보
    16463   2022-10-03
    71 [인터뷰] 중국 사회과학원 쑨거 교수 & 김명호의 중국 근현대 image
    한겨레
    18445   2021-12-29
    70 “모세가 ‘십계’를 받은 시내산은 이집트가 아니라 사우디에 있다!” image
    월간조선
    14604   2023-06-23
    69 [新택리지] 12개 대학·역동적인 젊음의 도시, 삼성현(원효·설총·일연)의 얼이 깃든 경산 image
    경향신문
    17983   2022-01-31
    68 [성서] 갈라티아서 image
    인천주보
    17565   2020-09-12
    67 제임스 조이스처럼 더블린서 기네스를 image
    조선일보
    17018   2022-04-24
    66 [최보식이 만난 사람] "보고서 수치 바꿔 월성 1호기 생매장… 명백한 게이트級 범죄" image
    조선일보
    20946   2020-04-07
    65 [인터뷰] 만약은 없다 - 남궁인 image
    조선일보
    25208   2016-10-06
    64 <문학의 창으로 본 조선의 궁중문화 1>- 삶과 죽음의 공간 (정은임) image
    오마이뉴스
    27587   2009-05-28
    63 배낭 속에 담아온 음악 - 현경채 image
    국민일보
    20898   2016-03-18
    62 항일운동가 김경천 장군 육필일기 '경천아일록' 출간 image
    조선일보
    23716   2012-03-01
    61 [인터뷰] '넛지'의 저자 리처드 탈러 시카고大 교수 image
    조선일보
    26412   2009-09-12
    60 [김호기의 굿모닝 2020s] 비행기 타고 퍼지는 신종 코로나… “인류에게 위험의 바깥은 없다” 1 image
    한국일보
    35290   2020-04-05
    59 [선택! 역사를 갈랐다] (9) 조광조와 중종 image
    서울신문
    25434   2012-04-24
    58 명나라의 정유전쟁 - 구범진, 김창수, 박민수, 이재경, 정동훈 등 image
    경향신문
    11992   2024-07-01
    57 [우리민족원류.지류를 찾아 .2] 신라이야기 <1>* image
    영남일보
    3254   2025-05-03
    56 [송근원 교수 그곳에서 우리를 만나다] <10> 알타와 신라 김알지의 '알'은 같다? image
    부산일보
    26403   2013-02-17
    목록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