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책소개,독후감(인터넷책사랑)
글수 146

매경프리미엄

중국에 흑치국이 있었을까?



 당군의 총지휘관인 소정방은 의자왕을 옥에 가두고 사비성을 노략질했다. 주군의 모욕과 적군의 대약탈! 백제 풍달군의 장군 흑치상지는 항복한 것을 크게 후회하고 백제부흥운동에 나선다.

 그가 거병을 하자 순식간에 모여든 군병이 3만. 무용을 떨치자 200여 성을 회복했다. 자칫 나당연합군의 승리가 무위로 돌아갈 판이었다. 하지만 백제부흥운동을 지도하던 복신과 도침, 부여풍 사이에 죽고 죽이는 살육전이 벌어지고 만다. 이에 염증이 났던 탓일까? 흑치상지는 당나라 유인궤에게 항복하고 칼끝을 돌려 백제부흥군의 토벌에 나선다.

 



뉴스워치

베트남, 흑치상지에서 박항서까지

  • 기자명 어기선 기자
  • 입력 2018.12.07 14:35   


고구려, 백제, 신라와 깊은 관계를 맺어왔던 베트남

‘신당서’(唐書)와 ‘삼국사기’에는 ‘흑치상지’(黑齒常之, 630년 ~ 689년)라는 인물이 기록돼 있다. 백제 의자왕 때 달솔(당시 지방귀족 계급)로 백제부흥운동을 이끌었던 인물이고, 부흥운동이 실패하자 당나라에 항복한 인물이다.

흑치상지를 필리핀 사람으로 인식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당서’에는 백제 서부인으로 돼 있는 광서성(廣西省)에 있었던 흑치국(黑齒國) 사람이거나 흑치국을 봉(封)함받은 백제 사람으로 기록돼 있다.

광서성에 있던 흑치국이라는 기록을 볼 때 필리핀보다는 오히려 베트남 접경지역이거나 베트남 사람인 것으로 봐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다.


출처: http://www.newswatch.kr/news/articleView.html?idxno=16597


*[kbs 역사스페셜]  [93회]   현존하는 최고의 역사서, 800년 논쟁 삼국사기의 진실은?  2000. 11. 18 토 



  • 포브스 코리아

  • 202009호 (2020.08.23) [94]목차보기

    김정웅의 무역이 바꾼 세계사(9) 


    7세기 당나라는 고구려, 백제를 멸망시키면서 백성 수십만 명을 당나라 험지와 전쟁터로 끌고 갔다. 당시 고구려 요동지역에 남은 인구가 2만 명이 못 될 정도로 줄었다. 668년 평양성이 함락당하고 3만 명에 이르는 장군, 관리, 기술자, 예술가, 군인과 백성이 묶인 채 당나라의 내륙 장안(시안)까지 수천 킬로미터를 끌려갔다. 신라로 망명해 당나라와의 전쟁에 합류했던 사람들은 신라인이 되었고, 북만주나 동만주 오지로 탈출한 유민들은 거란, 선비, 말갈 등에 흡수됐다. 힌두쿠시산맥을 넘었던 전설적인 장군 고선지가 이끄는 군대는 상당수가 고구려인이었다. 백제 부흥군을 이끌다가 당나라에 투항한 흑치상지는 당나라 7대 장군의 반열에 오르기까지 했지만 처형당했다. 일부는 극적으로 나라를 부활시키기도 했다. 산둥반도에서 당나라의 존립을 위협했던 이정기 왕국도 고구려 유민세력이 주축이었다. 대조영은 한반도 북부와 남만주에서 발해를 세워 고구려를 계승했다.






    ** [kbs 역사스페셜]   89회  흑치상지 묘지석 1604자의 비밀    2000.10.21. 토







    ** [역사추적]   의자왕 항복의 충격 보고서! 예식진 묘지명        2008.12.20 토


    ** [KBS대전] [KBS대전 특별기획 다큐멘터리] 백제 의자왕

    ** [KBS전주] 일왕은 왜 전투병 2만7천을 백제에 파병했는가 | 백제 역사발굴 4부작(2부) | 2004.01.13(화) | KBS전주


    ** [역사추적]27회    백제부흥운동 흑치상지 당나라 대장군 되다        2009.06.15


    ** [국방TV] 백제 최고무사 흑치상지가 가져온 충격. [순삭밀톡]백제의 피 땀 눈물로 세워진 궁극의 요새.-임존성 2부






    대조영"
    이 게시물을..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수 추천수 날짜
    66 기계와의 경쟁 - 진화하는 기술, 사라지는 일자리, 인간의 미래는? (에릭 브린욜프슨 | 앤드루 매카피) image
    알라딘
    18530   2020-01-06
    65 [이한우의 朝鮮이야기(2)] 환관 김사행, 경복궁을 설계한 천재건축가 image
    주간조선
    29821   2014-04-02
    64 [맨 인 컬처]여성-약자에겐 뻣뻣, 강자 앞에선 굽실… 그대 이름은 ‘개저씨’ 1 image
    동아일보
    29231   2020-01-07
    63 [당신의 유리알] 인도로 간 이방인* image
    가톨릭신문
    207   2025-04-19
    62 거대한 전환-우리 시대의 정치·경제적 기원 (칼 폴라니) image
    한겨레
    20346   2019-04-20
    61 돌아와요 부산항에 커피 마시러 image
    한겨레
    15333   2021-12-26
    60 담배연기 자욱했던 당구장은 잊어라…세계 챔피언·여신 배출한 국민스포츠로 image
    중앙일보
    17373   2022-06-06
    59 [인터뷰] 전태일 문학상 받은 최광리씨 image
    중앙일보
    13162   2021-12-25
    58 [고전톡톡 다시읽기] (27) ‘동의보감’ 허준 image
    서울신문
    21878   2011-10-21
    57 중증장애인 동료지원가 고 설요한의 삶과 죽음 image
    경향신문
    20925   2020-03-08
    56 [유현준의 도시 이야기] 김홍도·신윤복은 ‘새로운 한양’을 다큐처럼 그렸다 image
    조선일보
    11734   2023-09-03
    55 "고스톱보다 유튜브가 재밌네" 1인 방송 점령한 '걸크러시' 중·노년 유튜버들 image
    중앙일보
    19707   2020-01-04
    54 5가지 키워드로 돌아보는 ‘2015 대중문화’ 1 image
    경향신문
    15217   2020-10-01
    53 중세 신명재판(神明裁判) image
    조선일보
    12575   2021-12-15
    52 20년 각고 끝에 ‘나무의사’가 되다 image
    김무영
    12773   2023-05-15
    51 200만명 몰릴만도…홍콩시위 도화선 ‘소리없이’ 中 끌려간 이들 image
    동아일보
    35036   2020-02-09
    50 '김해 여고생' 실종 열흘 넘도록 CCTV(숨진 윤양이 사라진 교회 주변)도 안 본 경찰 image
    조선일보
    13544   2020-10-03
    49 [Weekly BIZ] [박종호의 오페라 이야기] ⑭ 세상에서 가장 슬픈 남자의 목소리… 그 화려한 부활 image
    조선일보
    13652   2021-12-09
    48 [이덕일의 事思史 근대를 말하다] 식민지 부호들 ⑦ 백화점 부자 image
    중앙SUNDAY
    28287   2012-12-22
    47 [인터뷰] 9년전 ‘예비신부 살인사건’ 책으로 펴낸 이인열 前 연천署수사과장 image
    동아일보
    15367   2020-06-21
    목록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