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어령의 100년 서재] '하늘을 우러러 한 점 부끄럼이 없기를' 예부터 그려온 하늘의 시선으로 내다보는 대한민국의 새로운 미래. (KBS 20150912 방송)

** 작가 박완서

** [다큐멘터리] 박완서 타계 10주기 특집 1부 | 만인의 작가, 글에 살다
** [다큐멘터리] 박완서 타계 10주기 특집 2부 | 엄마의 말뚝
** [다큐멘터리] 박완서 타계 10주기 특집 3부 |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

** 이야기를 만들고 글을 쓰는 김영하 작가의 우리가 소설을 읽는 이유부터 글쓰기 꿀팁

** [세바시 1211회]글쓰기는 부지런한 사랑이다 | ‪@sool6049‬ 이슬아 작가, '일간 이슬아' 발행인, 헤엄 출판사 대표 | 추천 글쓰기 책 

** 나쁜 글 고치는 법|'정보 홍수의 시대에 어떻게 읽고 쓸 것인가?' 유시민 작가| 차이나는 클라스|JTBC 180307 방송 


** [세바시 1401회] 멋진 글 쓰고 싶나요? | 나태주 시인 | 글쓰기 성장 시

원재훈 시인이 만난 문인의 서재 5 : 윤대녕 작가의 서재

** [라이프IN넘버스] 거장 조정래의 질문 "돈 앞에서 어떻게 살 것인가?" 

** 문학마실 : 「소나기」 작가 황순원이 남긴 말

** [TV책방 북소리] 황순원 '소나기', 문학 속 공간 읽기 


** [#책읽어주는나의서재] (1시간) 뼈는 잘려도 다시 자라요! 우주보다 신기하고 기계보다 뛰어난 우리 몸의 모든 것




당신만의 ‘글쓰기 홈그라운드’는 어디인가요

[한겨레S] 손소영의 짧은 글의 힘
공간과 글쓰기

  • 수정 2024-07-06 09:00
  • 등록 2024-07-06 09:00

  • 글쓰기는 운동과 같다고들 합니다. 글쓰기 근육을 키우고 단련하기 위해서는 조금씩이라도 꾸준히 쓰는 게 필요하기 때문이죠. 매일 한 줄을 쓰더라도, 아니 단어 하나라도 계속 써야 쓰고 싶은 게 떠오르고, 또 쓰고 싶고, 이런 것들이 쌓여서 다음 글을 쓰게 하는 원동력이 됩니다. 우물의 마중물이라고나 할까요. 무언가를 꾸준히 반복적으로 하면 시간이 지날수록 익숙해지면서 쉽고 빠르게 할 수 있게 되고, 실력이 향상되듯이 글도 마찬가지입니다. 날마다 나도 모르게 반복해서 하게 되는 것, 습관이죠. 이 습관의 힘이 글쓰기에 잘 적용된다면 분명 좋은 결과물이 탄생될 겁니다.

    이 게시물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