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위치 교체 전선 연결하는 방법과 예상치 못한 상황에 대한 팁! 1구부터 6구까지 - 라이트포유  

>

http://blog.naver.com/bnblightings/40158038693

                              



 

스위치나 콘센트류를 교체 하시기 전에는 항상 한가지만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전기는 물과 같아서 흘러가야 합니다.

이것 하나만 기억하시고 작업하시면 큰 위험없이 작업이 완료 될것입니다. ^^

 

 

 

복잡하시더라도 과정을 하나하나 보시다 보면 어렵지 않게 하실수 있습니다.

정말 어렵다고 느끼시는분은 트위터나 미투데이 방명록을 이용해주시기 바랍니다.

 

핸드폰으로 아래 QR코드를 스캔하신후에 핸드폰으로 본 포스팅을 보시면서 하시기 바랍니다.

그래야 편하고 빨리 합니다. ^^

 

 

 

작업하시기 전에 꼭 준비 할것이 많이 있답니다.

뭔지 한번 볼까요?

 

일단 스위치를 사야 합니다. ^^

여기서 깨알같은 광고~ ^^

 

아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각종 스위치나 콘센트를 구매하실수 있습니다.

 

 

 



 

 

1. 전기 차단

 

 

2. 고무 코팅 장갑 준비

 

3, 핸드폰 준비 ( 사진 촬영용 )

 

4, 각종 공구.

 

자 이제 스위치 설치 작업에 들어가겠습니다.

 

 

 

 

1, 일단 원래 있던 스위치를 제거 합니다.

    스위치 위나 아래에 보면 이 있습니다. 일자 드라이버를 꼽아서 살짝 들어주면 쉽게 뺄수 있습니다.

 

 

 

2, 위와 같이 일자 드라이버를 넣어서 살짝 들어주면 쉽게 빠집니다.

 

 

 

3, 커버를 제거한후에 스위치부분을 잡아 당깁니다.

    보통 스위치 부분은 잡아 당기면 쉽게 빠지게 되어있습니다.

 

 

4, 자 이제 피스가 보이죠?

    피스를 풀어 버립니다.

 

 

 

5, 자 이제 원래 있던 본체가 분리가 되었습니다.

    살짝 잡아 당기면 스위치 본체가 분리되어 나옵니다. 

    각 전선의 위치를 기억하기 쉽게 사진 한장 찍어두시기 바랍니다.

    사진은 전선의 위치만 기억할수 있는 사진이면 충분합니다.    

 



 

6, 전선이 많은 경우에는 견출지를 이용해서 전선마다 하나씩 붙이는 방법이 있습니다.

   그러면 스위치 교체할때 편하게 작업하실수 있습니다.

 

 

 

7, 기본적으로 한가지만 색이 다르고 나머지는 색이 같은 경우가 많습니다.

    보통 색이 다른 한개의 선이 전기가 나가는 선입니다.

    그 선은 공통선이라고 부릅니다.

 

 

8, 설치 할 스위치를 3단 분리 합니다.

    이쁘게 분리해주세요. ^^

 

 

 

9, 자 이제 선을 스위치 본체에 연결을 하겠습니다.

    연결 방식은 그냥 쑥 밀어 넣으면 됩니다.

    참 쉽죠잉?

 

 

 

10, 쉽다고 해서 대충 하시면 안됩니다.

     보통 1.6 cm 정도 들어가는데요. 피복이 안된부분이 노출이 안되도록

     최대한 밀어 넣거나 혹은 길이 조절을 해서 피복이 노출안되게 하세야 합니다.

 

 

 

11, 전선을 빼야 하는 경우에는 전선 부분옆에 조그만 버튼을 일자 나사로 살짝 누루시면 전선을 빼 낼수 있습니다.

     단!  너무 강하게 누르거나 전선을 세게 당기면 고장날수 있습니다.

     지그시 누르고 당기시기 바랍니다.  

 







 

12, 선이 몇개 없는 경우에는 쉽지만 좀 많은 경우가 문제 입니다.

     전기는 공통선에서 나가므로 전기가 잘 나가도록 되도록 회로도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이 부분이 중요한데요. 잘못설치해서 전기가 나가지 못하고 한곳에 머물러 버리면 스위치가 터질수 있습니다.

    

     아래의 회로도를 보시고 정확하게 작업하시기 바랍니다.

     제품마다 조금씩 달라 질수 있기 때문에 어려우시면 사람 부르시거나 우리 비앤비라이팅 트위터 등으로 연락 바랍니다.

 

 

13, 일신,나노,동서 회로도 입니다.

 

 

 



 

 



 

 

 

 

14, 회로도가 복잡하죠?

     별거 아닙니다. ^^

     일단 회로도를 보고 점프선을 연결하시기 바랍니다.

     위의 사진이 점프선이라는 겁니다. 딱봐도 별거 아니죠?

     점프선이 없는 경우에는 원래 제품에 있던 점프선을 이용하시거나 전선을 잘라서 만들면 됩니다.

 

 

 

15, 작업 전에 점프선을 미리 연결해주고 작업에 들어가면 편리하고 안전하게 작업할수 있습니다.

 

 

 

 

16, 전선 연결을 다 하셨으면 이제 본체를 다시 벽에 부착합니다.

     여기서 꼭 !!!! 상하 구분을 잘해서 벽면에 부착하시기 바랍니다.

     상하 구분을 잘못하시면 스위치가 거꾸로 설치가 되므로 주의해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7, 피스로 잘 고정하신후에 다시 조립하시면 됩니다.

     꼭 상하 구분을 확실하게 하시기 바랍니다.

   

 

 

 

 

 

작업하시다가 궁금하신것은 트위터나 미투데이로 질문해주시거나

방명록등을 이용해서 문의 하시기 바랍니다.

쪽지나 메일은 받지 않습니다.


>

http://blog.daum.net/mrtopaz/17285267

우리집 수리 - 전기 스윗치 및 콘센트 교체

댓글 7

한마음회/삶의 도전

2014. 10. 16.


전기 스위치 및 콘센트 교체

집안에서 눈에 띄는 곳에 위치하며 매일 한번은 만지게 되는 것이 스위치(switch)콘센트(concent, wall outlet, socket, outlet)이다. 자주 손이 가고 벽면에 노출되어 있다 보니 스위치는 시간이 지나면 손때가 묻어 누렇게 변하고, 콘센트는 청소하기가 곤란해 안쪽으로 먼지가 쉽게 낀다. 오래된 스위치나 콘센트는 접촉 부분이 불안해 전기 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적당한 시기가 되면 교체하는 것이 좋다. 최근에는 스위치나 콘센트에 안전 장치가 부착된 제품들이 나오고, 디자인도 이전보다 훨씬 다양해졌다. 우리집 인테리어에 적합한 스위치와 콘센트를 선택해 집 안 분위기를 바꾸어 볼 수 있다.

준비물 : 전기 스위치와 콘센트

이미지 목록

전기 스위치의 앞면

전기 스위치의 옆면

전기 스위치의 뒷면

1. 전기 스위치(switch)
전기회로의 이음과 끊음을 빠르고 안전하게 하는 전기 장치로 우리 말로는 전기 개폐기(開閉器)나 접선기(接線器) 등으로 부른다. 손잡이나 버튼을 상하좌우로 움직여 개폐시키도록 되어 있는 것을 텀블러 스위치(tumbler switch)라고 하며, 매입형과 노출형이 있는데 아파트 등 가정집 벽면의 전기 스위치는 매입형을 주로 사용하며 시연에 사용한 전기 스위치도 매입형이다. 최근에는 손으로 누르는 부위가 넓어져 사용이 편한 와이드스위치가 주로 쓰인다. 전기구 연결선의 개수에 따라 'O구'로 나뉘어 불린다.

윗줄 왼쪽부터 1구, 2구, 3구, 중2구 스위치, 아랫줄 왼쪽부터 중4구, 중3구, 중5구, 중6구 스위치

 

전기 스위치 및 콘센트 교체 이미지 1

이미지 목록

전기 콘센트의 앞면

전기 콘센트의 옆면

전기 콘센트의 뒷면

2. 전기 콘센트(concent, wall outlet, socket, outlet)
전기 배선에 설치하는 접속기구로 보통 벽에 설치하여 각 전자기기의 플러그를 꽂게 되어 있다. 1~3개의 접속구가 있고 최근에는 누전장치가 부착된 접지콘센트가 주로 쓰인다. 접지용 콘센트는 누전시 누전차단기를 빠른 시간 내 작동시켜 사용 시 감전을 예방할 수 있는 장치다. 플러그를 꽂는 둥근 원 안의 금속 부위(동그라미 부분)가 접지 역할을 하는 금속이다.

왼쪽부터 접지 1구 콘센트, 접지 2구 콘센트, 접지 4구 콘센트

준비물 : 공구

드라이버와 코팅장감

1. 일자드라이버
끝부분이 일자로 되어 나사못이나 볼트를 조이거나 푸는 공구이다.

2. 십자드라이버
끝부분이 십자로 되어 나사못이나 볼트를 조이거나 푸는 공구이다.

3. 코팅 장갑

전기 작업 전 주의사항

가정에서 전기 작업을 할 때는 감전 위험에 철저히 대비해야 한다. 얇은 면장갑을 끼고 그 위에 고무로 코팅된 장갑(일명 목장갑)을 껴 감전에 대비한다. 물기는 위험하니 손에 땀이 차지 않도록 하고, 발 아래에도 물기가 없도록 꼼꼼히 살핀다.

이미지 목록

누전차단기의 전원 부분(동그라미 부분)을 찾아 OFF에 놓는다

누전차단기 중 항목이 분리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전체 전원(동그라미 부분)을 끄고 작업한다. 차단기에 따라 OFF 방향이 다를 수 있다

전기작업을 하기 전에 반드시 누전차단기(흔히 두꺼비집이라고 불린다)를 OFF에 놓는다. 항목이 분리되어 있지 않은 차단기면 전체 전원을 꺼놓고 작업하는 것이 좋고, 전기에 대해 자신이 있는 이도 전체 전원을 OFF에 놓고 하는 것이 안전하다. 누전차단기는 대개 현관 벽면이나 신발장 뒤쪽에 위치해 있고, 신규 아파트들은 액자 형식으로 가리개가 덮여 있으니 아래에서 위로 덮개를 열면 된다.

전기 스위치 교체 과정

스위치 플레이트 분리

1. 스위치 플레이트(뚜껑) 분리
낡은 스위치 플레이트(뚜껑) 하단을 보면 작은 홈이 있다. 여기에 일자드라이버를 끼워 가볍게 들어올리면 플레이트가 쉽게 분리된다.

전기 스위치 및 콘센트 교체 이미지 2

스위치 제거

2. 스위치 제거
스위치들은 탈착 방식으로 본체에 붙어 있기 때문에 손으로 잡아당기면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전기 스위치 및 콘센트 교체 이미지 3

본체 분리

3. 본체 분리
십자드라이버를 이용해 위와 아래의 나사못을 시계반대방향으로 풀어준다. 일자드라이버를 벽과 본체 사이에 넣고 지렛대 원리를 이용해 본체를 떼어낸다.

전기 스위치 및 콘센트 교체 이미지 4

본체 분리

4. 연결 전선 확인
전기 스위치 본체 뒷부분에 전선이 배선되어 있는 상태를 살핀다. 새로운 스위치와 연결할 때 헛갈리지 않도록 이름표를 붙이거나 사진을 찍어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사진에서는 붉은색이 공통선, 전기 스위치 본체 내에서 연결된 선이 점프선(공통선으로부터 들어온 전기를 다른 스위치에다 옮겨주는 역할, 여기선 흰색), 나머지 다른 색의 선들이 각각의 조명 기기로 가는 선이다.

전기 스위치 회로도
<참고> 스위치는 전선의 결선법에 따라 단로, 3로, 4로가 있다. 단로는 1개 스위치로 1개 지점의 전등을 켜고끄는 것이라 결선법이 비교적 단순하다. 3로는 1개 전등을 각기 다른 위치에 있는 스위치 2개로 작동시키는 것이며, 4로는 1개 전등을 스위치 3개로 작동시키는 것을 말한다. 시연에서 보여주는 단로 스위치 이외의 것은 전기전문가가 작업해야 한다.

전기 스위치 및 콘센트 교체 이미지 5

전선 분리

5. 전선 분리
전선이 연결된 부위 바로 옆에 직사각형 형태의 홈(동그라미 부분)이 나 있다. 이곳을 일자드라이버로 세게 누르면 피복된 안쪽의 구리선이 나온다. 누를 때는 강한 힘을 주어야 구리선이 다치지 않고 한번에 빠진다. 너무 오래되어 전선의 피복이 벗겨지거나 구리선이 상한 부위라면 기존의 선을 빼내는 것보다 펜치로 끊은 뒤 피복을 벗기고 새로 연결시키는 방법도 있다.

6. 스위치 분리 완성
기존 스위치의 점프선은 남겨둔 채 벽체 전선과 전기 스위치 본체가 모두 분리된 모습이다.

전기 스위치 및 콘센트 교체 이미지 6

새로운 스위치 전선 연결

7. 새로운 스위치 전선 연결
교체할 새로운 전기 스위치 본체에 전선을 끼우는 과정으로 점프선은 이미 붙어있다. 미리 표시해 둔 이름표에 적은 위치대로 제 위치에 구리선을 끼운다. 별도의 누름 장치들 없이 한번에 깊숙하게 넣으면 알아서 전선이 물린다. 반드시 피복 부위까지 최대한 가깝게 끼워 구리선이 밖에서 보이지 않게 한다. 연결이 끝났으면 이름표 등을 제거한다.

전기 스위치 및 콘센트 교체 이미지 7

전기 스위치 본체 벽면에 고정

8. 전기 스위치 본체 벽면에 고정
전기 스위치 본체를 벽면에 고정하고 위와 아래의 나사못을 시계방향으로 조여준다. 위와 아래의 스위치를 끼운다.

전기 스위치 및 콘센트 교체 이미지 8

전기 스위치 교체 완성

9. 전기 스위치 교체 완성
스위치 플레이트(뚜껑)를 덮고 탁 소리가 나게 결합되면 완성이다.

전기 콘센트 교체 과정

콘센트 플레이트 분리

1. 콘센트 플레이트(뚜껑) 분리
전기 콘센트 아래쪽 중앙에 틈이 있다(어떤 제품은 아래쪽 좌우 끝에 2개의 틈이 있는 경우도 있다). 지렛대 원리로 위로 살며시 젖혀주면 플레이트가 쉽게 분리된다.

전기 스위치 및 콘센트 교체 이미지 9

콘센트 플레이트 분리

2. 전기 콘센트 본체 분리
십자드라이버를 이용해 위와 아래의 나사못을 시계반대방향으로 풀어준다. 본체의 양쪽을 잡고 밖으로 조심스럽게 당겨 꺼낸다.

전기 스위치 및 콘센트 교체 이미지 10

콘센트 플레이트 분리

3. 접지선 분리
콘센트 본체 뒷면을 보면 녹색 전선이 나사못과 연결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접지선으로 전기선이 낡아서 벗겨졌을 때 전류가 흘러 자칫 누전이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혹 오래된 건물이나 초기 전기 공사를 제대로 하지 않은 집에는 접지선이 연결되지 않은 경우도 있다. 드라이버를 이용해 녹색 전선과 연결된 나사못을 시계반대방향으로 조금 풀어 녹색 전선을 분리한다.

전기 콘센트 회로도

전기 스위치 및 콘센트 교체 이미지 11

전선 분리

4. 전선 분리
전선이 연결된 부위 바로 옆에 직사각형 형태의 홈(동그라미 부분)이 나 있다. 이곳을 일자드라이버로 세게 누르면 피복된 안쪽의 구리선이 빠져 나온다. 누를 때는 강한 힘을 주어야 구리선이 다치지 않고 한번에 빠진다. 너무 오래되어 전선의 피복이 벗겨지거나 구리선이 상한 부위라면 기존의 선을 빼내는 것보다 펜치로 끊은 뒤 피복을 벗기고 새로 연결시키는 방법도 있다.

전기 스위치 및 콘센트 교체 이미지 12

새로운 콘센트에 접지선 연결

5. 새로운 콘센트에 접지선 연결
새로운 전기 콘센트 중앙의 나사못을 풀고 녹색 접지선(제품에 따라 노란색인 경우도 있음)을 연결하는 과정이다. 위치를 잘 잡고 나사못을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다시 단단하게 조여준다.

접지선 연결

전기 콘센트 제품 중에는 녹색 접지선도 나사못으로 연결하지 않고 다른 전기선과 마찬가지로 접지선을 전기 콘센트 본체에 직접 꽂아 연결하는 제품도 있다. 다른 전선들과 마찬가지로 녹색 버튼 옆의 구멍에 녹색 접지선을 삽입해 연결하고 뺄 때는 녹색 버튼을 드라이버로 눌러 빼는 방식이다. 구멍이 두 개인 이유는 간혹 접지선이 두 개 있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접지선이 하나인 경우는 하나의 구멍에만 연결하면 된다.

전기 스위치 및 콘센트 교체 이미지 13

전선 연결

6. 전선 연결
전선의 기존 위치와 똑같이 본체에 새로 끼운다. 별도의 누름 장치들 없이 한번에 깊숙하게 넣으면 알아서 전선이 물린다. 반드시 피복 부위까지 최대한 가깝게 끼워 구리선이 보이지 않도록 깊숙하게 끼워야 한다.

전기 스위치 및 콘센트 교체 이미지 14

콘센트 본체 연결과 완성

7. 콘센트 본체 연결과 완성
위와 아래의 나사못을 연결해 전기 콘센트 본체를 벽에 부착한다. 위의 나사못을 먼저 조이다가 아래 있는 나사못을 홈 구멍에 맞추고 나사못 둘 다 움직여가며 남은 부분을 조여준다. 이때 몸체가 비뚤어지지 않게 위치를 바르게 잡아주면서 조여준다. 전기 콘센트 플레이트(뚜껑)를 덮고 탁 소리가 나게 결합되게 덮으면 완성이다.

전기 작업 후 확인사항

누전차단기

전기작업 전에 OFF로 설정한 누전차단기(흔히 두꺼비집이라고 불린다)를 열어 원래의 위치 ‘ON’에 놓는다. 새로 교체한 각각의 전기 스위치와 전기 콘센트가 제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한다.

Tip전기 절약해 주는 콘센트


콘센트에 전기 제품의 플러그를 꽂아두면 전기 제품의 전원을 끈 상태라도 일정 전력이 소모되는데, 이를 대기전력이라고 한다. 대기전력낭비를 자체적으로 막을 수 있는 콘센트 제품이 있어 일일이 플러그를 뽑지 않아도 전기 콘센트 단계에서 에너지 절약을 할 수 있다.

대기전력자동차단 콘센트전기 제품의 플러그를 꽂아둔 상태에서도 일정량 이하의 전류가 흐르게 되면 자동으로 전력 차단이 되는 편리한 제품이다. 차단되는 전기량의 기준을 직접 설정할 수 있고 대기전력차단모드, 상시전력모드로 전환해 사용할 수도 있다.




>


전등 스위치 교체 방법 간단합니다 
 

2017. 3. 23. 12:02

전등 스위치 교체 방법 간단합니다

요즘 셀프인테리어 많이들 하시죠?
하면 금방하는데 하기싫고 또 몰라서 못하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이번에는 간단하게 하는 전등 스위치 교체 방법
을 알려드릴께요.








보통 집안에 이런 전등 스위치 하나쯤은 다 있죠?
전등 스위치 1개 있는건 1로 스위치
2개는 2로, 3개는 3로 스위치 라고 합니다.
가끔 누르는 부분이 헐거워져서 고장도 나고
위의 사진처럼 더러워지면
닦아도 잘 안닦이는데요.
간단하게 전등 스위치 하나 구매하셔서
교체하시면 경제적으로 많은 도움이 됩니다.

집안도 깔끔해지구요 ^^








전등 스위치 교체 방법 
첫번째는 새 스위치를 구매하는겁니다.
얼마안하니 구매해서 교체하시면
아마도 아내에게 이쁨받으실꺼예요

그외 준비물은 십자드라이버, 일자드라이버 
요정도면 준비 끝 입니다.








제일 처음에 하는게 집안 두꺼비집에서
전등 차단기를 내리는게 제일 중요합니다.
아무래도 감전의 위험을 줄여햐 하니깐요.
차단기는 보통 현관 신발장 근처에 위치합니다.

일자드라이버를 이용해 스위치 커버를 벗겨내면
위와같은 모습이 됩니다.







그 다음 십자드라이버를 이용해 전등 스위치
상,하부의 피스를 풀어내고 쭉 당겨주면 
사진과 같은 모양









앞전에서 말씀드렸지만 
스위치가 2개인 2로 전등 스위치 입니다.

적색선은 공통 전원선
백색은 스위치 2개를 연결해주는 점프선 입니다.
점프선으로 2개의 스위치에 동일한 공통선이 들어가는거죠 ㅎㅎ

노란색과 검정색 전선은 각각의 스위치 라인 입니다.
예를 들어 거실등이 하나의 스위치를 켜면 반이 들어오고
두개의 스위치를 켜면 전체가 들어오는 방식이라고
설명드리면 좀 쉽겠죠?









이제 새로 구매한 전등 스위치에 각각의 전선을 빼서
동일한 위치에 끼워넣으면 됩니다
전등 스위치 교체 방법 별거 없어요.
일자드라이버로 전선이 꼽여있는 플라스틱 부분을
눌러서 당겨주면 빠진답니다.







제가 이해하시기 쉽게 모형을 만들어 봤는데요.
기존 스위치의 전선을 새 전등스위치에 고대로 옮겨놓은 모습 입니다.

이래도 잘모르겠다? 
교체하기전 스마트폰으로 사진을 찍어놓고 
사진을 보면서 그대로 옮겨주면 끝~~~!!







전선을 똑같이 연결해주고
피스로 고정해서 커버를 쒸워주면
깨끗한 전등 스위치로의 교환이 됩니다.








그러나 집에있는 전등 스위치의 종류는 많이 있기에
1로, 2로 ,3로 스위치의 모습과 배선상태를
살펴볼께요.

우선 1로 스위치 입니다
말그대로 하나의 전등을 켜고 끄는 용도로
(전선의 색상은 스위치 배선시 전부 다르니 참고로만)
적색전선이 공통전원선이고 검은색이 스위치라인









2로 스위치는 살펴봤고 
3로 스위치 역시
기본적인 구조만 알면 금방 교체가 가능합니다
적색 공통선
검정,파랑,백색 스위치 라인......!!

전등 스위치 교체 시 조금 힘든게 공통선 연결 입니다
짧아서 끼고 빼기 좀 까다롭죠
그러나
요즘은 공통선이 내부에 연결된 스위치들고 있으니
스위치 라인만 연결하면 되는 제품을 구매하셔도 됩니다.








가장 기본적인 스위치 방식
이외에도 5로,6로 전등 스위치가 있지만
구조는 전부 똑같답니다.








고장난 전등 스위치, 더러워진 전등 스위치 교체 
이제는 간단하고 쉽게 셀프로 교체 하시기 바랍니다.

이외에도 형광등 안정기 교체
전기 콘센트 교체
화장실 환풍기 교체등 
집안에서 셀프로 교체할 수 있는 일들이 많답니다
간단히 소개를 하고 마치겠습니다

>



이 게시물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