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다들 안녕하시죠?^^ 반갑습니다 김군입니다.
어제 아는 지인에게서 갑자기 전화가 왔는데요
이유는 갑자기 "노트북 화면이 안나와요" 혹시 어떻게 해결방법좀 아세요?
딱!! 요렇게 물어보더라구요.ㅎㅎ
쥐뿔도 모르는 김군이 예전에 이랬던 경험이 있어서 노트북 화면이 안나올때
초간단 해결방법을 공유해줬습니다^^ 물론.....다행이 바로 해결이 되었구요:)
노트북 화면이 안나와요 초간단 셀프 해결방법!!
말이 길면 산으로 가죠? 너무 간단하기때문에 지금부터 바로 해결방법 공유 해볼께요.
참고로 김군의 노트북은 삼성 노트북 입니다
1. 노트북 또는 PC 의 전원을 OFF상태로 전환한다.
노트북과 마찬가지로 데스크탑PC경우에도 이처럼 전원이 켜져있는 상태에서도
화면만 까맣게 꺼진거처럼 안들어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물론, 이방법으로 무조건 해결되는건 아니지만 대부분 메모리카드 접촉이상으로
노트북 화면이 안나오는 현상이 발생한다고 합니다.
그래서 노트북 또는 데스크탑에서 메모리카드를 분리 할껀데 분리 하기전에
전원을 OFF상태로 전환 해주세요.
2. 노트북 베터리를 본체와 분리한 후 HDD/Memory 보호커버를 오픈한다.
노트북은 전원케이블을 분리 하더라도 베터리에 전력이 남아 있기때문에 모든 작업전에는
노트북의 안전을 위해 베터리를 분리해주는게 좋겠습다.
노트북을 뒤집으면 베터리를 분리한후 바로 아래쪽에 메모리와 HDD 보호커버를
열수가 있죠? 작은 스크류나사 하나만 풀어주면 간단하게 밀어서 오픈이 가능합니다.
밀어서 잠금해제~~ 뭐 이런거~^^ 아무튼 노트북의 커버를 밀어서 열어주세요.
3. 메모리카드를 보드에서 분리한다.
노트북의 보호커버를 열고나면 우측에는 HDD 촤측에는 메모리가 있는데요
모양이나 갯수는 조금씩 틀릴수 있으니 참고하시고
화살표 양쪽방양을 뒤로 밀어주면 딸깍 소리가 나면서 메모리 카드를 노트북 보드로부터
분리할 수 있습니다. 어렵지 않아요^^
클립을 밀어내기전 사진이 있었네요 처음에 노트북 커버를 열면 이렇게 메모리가
창착되어 있겠네요. 저클립을 양쪽을 밀어내고 메모리를 들어올린 모습이
바로 위의 사진입니다. 클립을 밀어내고 메모리를 들어올리면 쉽게 빠질꺼에요.
노트북 화면이 안나와요 셀프 해결방법 거의 끝나갑니다^^
4. 노트북에서 분리한 메모리카드 접촉부를 청소해준다.
메모리카드를 분리해서 보드와 접촉되는 부분을 청소해줄건데요
청소라고해봐야 뭐 특별히 할건없고, 접촉부를 부드러운 물체로 문질러줄건데요
보통 지우게로 많이들 문지러줍니다. 근데 전 학생이 아니라 집에 지우게가 없더군요
그래서 엄지와 검지로 감싸고 접촉부 결에따라서 쓱쓱 몇번 문질러줬습니다.
지우게가 없으신분들은 저처럼 손가락을 이용해서 몇번 문질러주세요
여기까지 다 하셨다면 "노트북 화면이 안나와요" 셀프 해결 다 하신거네요.
이제 메모리 분리할때 역순으로 원위치 시켜주면 끝입니다.
5. 분리한 메모리카드를 분해 역순으로 정위치 한다.
이제 모든 과정이 끝났습니다
아까 메모리카드를 분리했던 자리로 살짝 밀어 넣기만 하면 되겠죠?
뭐야 이게 끝이야?? 하지 마시고 언능 메모리카드 꼽아주시고 노트북 전원 켜주시죠?
노트북 혹은 데스크탑 화면이 / 모니터가 갑자기 안나와요 이렇게 해서 해결 안된적이
한번도 없었는데 혹시 그 첫번째 주인공은 아니시죠?^^;;
분명 해결되셨으면 좋겠네요
데스크탑도 마찬가지로 베터리 제거하는 과정만 빼고 같은 방법으로 메모리 제거후
청소하고 제조립 하시면 노트북이든 데스크탑이든 화면이 안나와요 이부분에 대해서
해결이 될거라 생각됩니다.
오늘도 김군의 티스토리 찾아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은하루 보내시고 행복하세요^^
[IT동아 김영우 기자] IT 전반에 관한 의문, 혹은 제품 및 서비스의 선택에 고민이 있는 독자들의 문의 사항을 해결해드리는 ‘IT애정남’입니다. 구형 노트북 업그레이드와 관련한 질문을 종종 받는 편인데 이번에 문의하신 relaxxxx님의 사연도 그러합니다. 이번 제품은 업그레이드를 하더라도 만족감이 의문스러운 제품이긴 한데, 이럴 때는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요? 사연은 이하와 같습니다(일부 내용 편집).
저에게 아주 오래된 삼성노트북 센스Q70이 있습니다. 2004년도에 구매했나? 아주 오래됐는데 한번 싹 밀어버리고 어딘가에 처박아 놨다가 요즘 그냥 신형노트북과 함께 근근이 사용하고 있는데요. 그래 봤자 카카오톡 대화창으로나 쓰려나요?
성능이 인텔 펜티엄급이고 CPU는 T2390이라고 적혀 있어요. 설치된 메모리는 2기가. 32비트 운영체제네요. 혹시 이런 사양의 노트북도 업그레이드가 가능할까요? 주식 HTS 좀 구동시키고, 카카오톡도 병행하면서 뉴스링크 클릭시 연동이 좀 빨리 됐으면 좋겠는데 지금은 부팅시키는 것도 오래 걸리긴 하지만 인터넷도 잘 안 열리네요. 가능할까요? 귀찮게 해드렸다면 죄송합니다...
안녕하세요. IT동아입니다. 삼성전자 Q70이면 2007년을 전후해서 팔리던 제품이고 지금 시점에선 너무 성능이 낮아 활용도가 높지 않은 노트북입니다. 일반적으로 노트북의 성능을 높이는 방법은 메모리(RAM) 용량을 증설하거나 HDD를 SSD로 바꾸는 방법을 많이 택합니다. CPU와 같은 다른 부품은 교체가 어려우니까요.
Q70의 경우, 메모리의 경우는 최대 4GB까지, 증설할 수 있으며 SSD는 SATA 규격의 2.5 인치 모델이 호환됩니다. 이렇게 업그레이드를 하면 지금보다는 낫긴 할 겁니다. 다만 효율 면에서는 그다지 추천하기 어렵겠네요.
우선 Q70은 2개의 메모리 슬롯을 가지고 있고 슬롯당 최대 2GB까지 호환 가능합니다. 기존의 1GB 메모리 2개는 재활용을 할 수 없고 그냥 버린 후 새로운 2GB 2개를 꽂아야 합니다. 게다가 지금은 단종되어 중고밖에 구할 수 없는 DDR2 규격 메모리를 구해야 한다는 것도 문제죠.
2.5인치 SSD의 경우는 지금도 신품을 구할 수 있긴 합니다만 삼성전자 Q70은 내부적으로 SATA2(300MB/s) 인터페이스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때문에 지금 팔리는 SATA3(600MB/s) 규격 SSD를 장착할 경우, 이용은 가능하지만 데이터 전송속도가 반 토막 납니다. 그만큼의 기회비용이 손실되는 거죠.
무엇보다도 지금 노트북에 탑재된 CPU인 펜티엄 T2390의 성능이 심각하게 낮기 때문에 메모리 용량을 늘리고 SSD를 단다 해도 부팅 속도와 로딩 속도만 좀 빨라질 뿐, 인터넷 서핑을 하기에도 상당히 답답할 것으로 보입니다. 최근의 웹페이지에는 각종 그래픽효과 및 플러그인이 탑재되어 있어 CPU의 연산능력이 낮으면 페이지를 여는 것조차 버겁기 때문입니다. 말씀하신 주식 HTS 프로그램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카카오톡 구동 정도는 가능하겠습니다만 그래서야 업그레이드를 한 보람이 없을 것 같으니까요.
결론적으로 말씀드리자면, 해당 노트북은 업그레이드가 가능하긴 하지만 효율이 좋지 못하므로 업그레이드를 추천할 수 없을 것 같습니다. 저사양 PC에서도 비교적 빠르게 구동되는 리눅스나 크롬 OS를 설치해 구형 노트북을 되살리는 분들도 있긴 합니다만 이는 소프트웨어 호환성이 낮기 때문에 질문자님의 용도에는 부합하지 않을 듯합니다.
구형 노트북 중에서 2021년 현재 메모리나 SSD 업그레이드로 만족스러운 성능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건 2010년 이후에 출시된 2세대 코어 시리즈 이상 CPU를 탑재한 노트북입니다. 이런 제품은 8GB 이상의 메모리 및 SATA3 SSD가 호환되며, CPU의 연산능력도 아직은 쓸 만하기 때문이죠. 이보다 낮은 사양의 제품이라면 무리해서 돈을 투자해 업그레이드를 하더라도 만족도가 극히 낮다는 점을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저희 기사에 관심을 가져 주셔서 감사합니다!
'IT애정남'은 IT제품이나 서비스의 선택, 혹은 이용 과정에서 고민을 하고 있는 독자님들에게 직접적인 도움이 되고자 합니다. PC, 스마트폰, 카메라, AV기기, 액세서리, 애플리케이션 등 어떤 분야라도 '애정'을 가지고 맞춤형 상담을 제공함과 동시에 이를 기사화하여 모든 독자들과 노하우를 공유할 예정입니다. 도움을 원하시는 분은 pengo@donga.com으로 메일을 보내 주시기 바랍니다. 사연이 채택되면 답장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글 / IT동아 김영우(pengo@itdonga.com)
출처: https://it.donga.com/32381/
** 노트북 화면이 안 나올 때, 해결방법 3가지! | 노트북 전원 안켜짐 | 삼성 노트북 먹통해결 | 랩탑 전원 키는법 | 삼성노트북 | 갤럭시북2
예상 원인
조치 방법
아래의 세가지 방법을 참고하여 조치해보시기 바랍니다.
② 10초 정도 기다린 후 전원어댑터 연결, 전원 버튼을 눌러 정상적으로 켜지는지 확인합니다.
최근 출시되는 노트북은 내장형 배터리 방식이고 배터리 차단 비상 구멍이 없으니 소프트 RTC 리셋 방법 으로 조치해보시기 바랍니다.
1. 노트북 전원은 켜지나 부팅이 안되는 경우, 소프트 RTC 리셋 방법
※ 2016년 이후 출시된 스카이레이크 CPU 적용 노트북부터 '소프트 RTC 리셋' 기능을 지원합니다.(일부 모델 제외)
① 전원어댑터를 노트북에서 분리하세요.
※ 노트북이 켜져 있는 경우(동작표시등에 램프가 켜져있는 경우) 전원 버튼을 길게 눌러 전원을 종료하세요.
② Fn + F1 + 우측 방향키(▶) 키를 동시에 누른 상태에서 전원 버튼을 누르세요.
※ Note PC 모델에 따라 전원 버튼 위치가 다를수 있습니다.
③ RTC리셋이 정상적으로 동작한 경우, 동작 표시등 램프가 빨간색(RED)으로 5회 깜빡인 후 꺼집니다.
④ 전원어댑터를 노트북에 연결하세요.
⑤ 전원 버튼을 눌러 컴퓨터를 켭니다.
※ 화면이 켜질 때까지 LED가 Blue(파란색) 색상으로 깜빡거리며 초기 부팅시 까지 약 1분~2분 가량 소요됩니다.
※ 모델에 따라 화면이 켜지는 데까지 시간이 걸리수 있으므로 켜지는 동안 전원을 강제로 종료하면 안됩니다.
2. 노트북 전원 자체가 안켜질 때, 소프트 RTC 리셋 방법
※ 2023년(13세대 CPU 적용)이후 출시된 노트북에만 적용 가능 합니다.
① 전원어댑터를 노트북에서 분리하세요.
② Fn + F1 + 좌측 방향키(◀) 키를 동시에 누른 상태에서 전원 버튼을 누릅니다.
※ Note PC 모델에 따라 전원 버튼 위치가 다를수 있습니다.
③ RTC리셋이 정상적으로 동작한 경우, 동작 표시등 램프가 빨간색(RED)으로 5회 깜빡인 후 꺼집니다.
④ 전원어댑터를 노트북에 연결하세요.
⑤ 전원 버튼을 눌러 컴퓨터를 켭니다.
※ 화면이 켜질 때까지 LED가 Blue(파란색) 색상으로 깜빡거릴수 있으며 초기 부팅시 까지 약 1분 가량 소요될수 있습니다.
※ 모델에 따라 화면이 켜지는 데까지 시간이 걸리수 있으므로 켜지는 동안 전원을 강제로 종료하면 안됩니다.
② 10초 정도 기다린 후 다시 전원어댑터를 연결하여 정상적으로 전원이 켜지는지 확인합니다.
안내해드린 방법으로 조치가 안된다면 하드웨어적인 점검이 필요하오니 가까운 서비스센터를 방문하여 점검을 받아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