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곤 노동자 가족, 소득 50% 집세 내
퇴거 면하기 위해 먹는 것도 줄여
집 문제 해결통한 ‘가난 해법’ 제시
주택바우처 제공 대안으로 내세워
매튜 데스몬드 지음
황성원 옮김, 동녘
540쪽, 2만5000원
방세를 내지 않는 세입자를 내보내려고 문짝을 떼어내는 집주인도 있다. 이 책에 나오는 사람들은 약물 중독, 장애, 정신질환, 낮은 교육 수준, 실업 등 여러 복합적인 문제를 안고 살아간다. 그들은 “헬지구(Earth is hell)”를 체험한다. 라마르의 경우를 살펴보자. 그는 한달에 628달러를 번다. 집세는 550달러다. 하루에 2달러 19센트밖에 안 남는다. 의식주 중에서 중요하지 않은 것은 없다. 빈곤층 세입자는 집에서 쫓겨나지 않기 위해 식료품이나 전기는 포기해야 한다.
사파리 구경하듯 가난을 ‘관람’하네
등록 :2020-04-10 06:01
중독과 폭력에 노출된 삶 적나라하게 보여주며 좌우파 모두에 신랄한 비판
http://www.hani.co.kr/arti/culture/book/936464.html?_fr=mt3#csidxce52c09511a2eb7bc583702860310b5
쪽방에 거주하는 ‘도시의 투명 인간’, 그 삶의 경로를 따라가면…
입력 2020.05.22 04:30
이문영 지음
오월의봄 발행ㆍ580쪽ㆍ2만4,000원
저자는 쫓겨난 주민들의 이주 경로를 따라가며 이사한 거리를 하나하나 측정했다. 주민 셋 중 둘은 직선거리 100m 안에서 이사했다. 마찬가지로 3명 중 2명은 다시 쪽방으로 옮겨갔다. 이렇게 그들은 같은 동네의 다른 건물에서 다시 만나 또 이웃이 됐다. 강제퇴거 5년 뒤 45명 중 9명이 세상을 떠났다. 헌법이 보장한 거주ㆍ이전의 자유와 행복추구권도 결국엔 이를 살 돈이 있는 사람에게만 허락된 것이란 사실을 보여준 것이다.
출처: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202005211242742535?NClass=HE03
** KBS [추적60분] 1321회 2019 쪽방촌 리포트 - 빈곤 비즈니스 2019.07.12 금
** KBS [시사기획 창] 357회 쪽방촌 계급사회 2021.12.26 일
밤마다 나타난 의문의 '종이박스'…남대문 지하도의 비밀
노숙인들이 남대문 지하도를 선호하는 이유에 대해 노숙자를 오래 지원해온 한 전문가는 세 가지 포인트를 지적했다.
첫째, 일본강점기에 건설된 이 지하도가 천장이 낮고 전구가 많아 노숙자들이 아늑함을 느낀다는 것이다. 겨울엔 전구 열기로 따뜻해 숙소로 인기가 높아졌다는 설명이다.
둘째, 무료 급식소 등 지원 시설이 많은 서울역에서 너무 가깝지도 않고 멀지도 않은, 적당한 거리에 있어 다른 노숙자들로부터 간섭을 덜 받는다고 한다. 그러면서도 각종 편의시설에 걸어서 가기가 힘들지 않아 나름의 독립생활을 누리면서도 식사나 목욕 등 해결이 쉽다는 점이다.
셋째로 지하도 위쪽에 선반 기능을 하는 구조물이 있어 물건을 두고 쓰기 편하다고 한다. 실제로 유심히 보니 천장 가까이에 선반 같은 구조물이 있고 거기에 장기판과 장기알 등 노숙인 물건으로 보이는 것들이 발견된다.
[출처: 중앙일보] https://news.joins.com/article/24123234?cloc=joongang-home-newslistleft
[5분 칼럼] 상가는 남아돌고 집은 부족한데… 두 토끼 잡으려면
[아무튼, 주말]
[손관승의 영감의 길]
이탈리아 거물들이 보여준
인생 후반전을 맞는 자세
일반적으로 상업 시설은 기둥식 구조로 건축된다. 이 말은 내부의 벽을 부수거나 변형해도 된다는 이야기다. 기존의 상업 시설은 주거 공간으로 평면을 개조하기 쉽다. 남아도는 상업 시설을 주거로 리모델링하면 부족한 주택 공급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된다. 이때 건축적으로 해결해야 할 문제가 생긴다. 첫째, 하수도 공사를 해야 한다. 보통 주택에는 부엌과 화장실같이 물을 쓰는 공간이 많다. 여기서 버려지는 물을 내려보낼 공간이 필요하다. 일반적인 아파트에서는 화장실의 슬래브를 낮추어서 하수도관이 지나가게 하거나 아래층의 천장 공간에 하수도관을 설치한다. 상가의 경우에는 층별·세대별로 소유주가 나뉜 경우가 많아 빌딩 전체를 리모델링하는 데 동의를 받기 어렵다. 따라서 부분 공사를 해야 할 텐데, 이럴 때는 아래층 천장을 이용해서 하수도 파이프 공사를 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자신의 층에서 바닥을 몇십㎝ 들어올려 하수도 파이프 공간을 확보해야 한다. 보통 카페나 레스토랑에서 부엌 쪽의 바닥이 올라간 경우는 이런 하수도 공간 확보 때문이라고 보면 된다. 다행히 상업 시설의 층고는 높다. 아파트의 층고는 2.7m인 데 반해, 상업 시설은 층고가 4m 정도 된다. 따라서 바닥 면을 50㎝ 올렸다고 해도 기존의 아파트보다 천장고가 높은 주거 공간이 만들어질 수 있다.
출처 : https://www.chosun.com/AC6ZQBZQHRCDFEXGAV7E2RREGY/
** 추위와 무관심 속에 하루 하루를 살아내는 사람들의 겨울 - "을지로, 겨울이야기" (KBS 20090215 방송)
** KBS [추적60분] 1316회 전세사기, 청년 주거난민을 노리다 2019.06.07 금
** [KBS 9층시사국] 취업 빙하기, 청년을 위한 나라는 없다 1회 2023. 02. 01 수
** [KBS 9층시사국] 청년 물가 대해부! 밥은 먹고 다니세요?/인공지능에 올인한 이유 MS 부회장 인터뷰 2023. 04. 26 수
누군가의 마음속에 남겨지고픈 ‘남 기자’, 남형도 기자
이윤 추구를 정당화한 스콜라 철학… 초기 자본주의 문을 열다
[주경철의 히스토리아 노바] [56] ‘신성한 가난’에서 ‘깨끗한 부’로
빈민에게 외투를 나눠주는 마르탱 성인 - 헝가리 출신의 마르탱은 로마 군인이 되어 프랑스의 아미앵 지역에서 근무하게 되었다. 어느 추운 겨울날, 벌거벗고 덜덜 떠는 걸인을 본 마르탱은 군복 외투의 반을 잘라 걸인에게 주었다. 고대와 중세 종교는 빈(貧)을 긍정적 가치로, 부(富)는 부정적 가치로 봤다. 투르의 마르탱(316~397) 성인의 일화를 성화로 표현한 엘 그레코의 작품. 외투 일부를 건네는 마르탱이 걸인들에게 둘러싸여 있다. /위키피디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