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책소개,독후감(인터넷책사랑)
글수 146

매경프리미엄

중국에 흑치국이 있었을까?



 당군의 총지휘관인 소정방은 의자왕을 옥에 가두고 사비성을 노략질했다. 주군의 모욕과 적군의 대약탈! 백제 풍달군의 장군 흑치상지는 항복한 것을 크게 후회하고 백제부흥운동에 나선다.

 그가 거병을 하자 순식간에 모여든 군병이 3만. 무용을 떨치자 200여 성을 회복했다. 자칫 나당연합군의 승리가 무위로 돌아갈 판이었다. 하지만 백제부흥운동을 지도하던 복신과 도침, 부여풍 사이에 죽고 죽이는 살육전이 벌어지고 만다. 이에 염증이 났던 탓일까? 흑치상지는 당나라 유인궤에게 항복하고 칼끝을 돌려 백제부흥군의 토벌에 나선다.

 



뉴스워치

베트남, 흑치상지에서 박항서까지

  • 기자명 어기선 기자
  • 입력 2018.12.07 14:35   


고구려, 백제, 신라와 깊은 관계를 맺어왔던 베트남

‘신당서’(唐書)와 ‘삼국사기’에는 ‘흑치상지’(黑齒常之, 630년 ~ 689년)라는 인물이 기록돼 있다. 백제 의자왕 때 달솔(당시 지방귀족 계급)로 백제부흥운동을 이끌었던 인물이고, 부흥운동이 실패하자 당나라에 항복한 인물이다.

흑치상지를 필리핀 사람으로 인식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당서’에는 백제 서부인으로 돼 있는 광서성(廣西省)에 있었던 흑치국(黑齒國) 사람이거나 흑치국을 봉(封)함받은 백제 사람으로 기록돼 있다.

광서성에 있던 흑치국이라는 기록을 볼 때 필리핀보다는 오히려 베트남 접경지역이거나 베트남 사람인 것으로 봐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다.


출처: http://www.newswatch.kr/news/articleView.html?idxno=16597


*[kbs 역사스페셜]  [93회]   현존하는 최고의 역사서, 800년 논쟁 삼국사기의 진실은?  2000. 11. 18 토 



  • 포브스 코리아

  • 202009호 (2020.08.23) [94]목차보기

    김정웅의 무역이 바꾼 세계사(9) 


    7세기 당나라는 고구려, 백제를 멸망시키면서 백성 수십만 명을 당나라 험지와 전쟁터로 끌고 갔다. 당시 고구려 요동지역에 남은 인구가 2만 명이 못 될 정도로 줄었다. 668년 평양성이 함락당하고 3만 명에 이르는 장군, 관리, 기술자, 예술가, 군인과 백성이 묶인 채 당나라의 내륙 장안(시안)까지 수천 킬로미터를 끌려갔다. 신라로 망명해 당나라와의 전쟁에 합류했던 사람들은 신라인이 되었고, 북만주나 동만주 오지로 탈출한 유민들은 거란, 선비, 말갈 등에 흡수됐다. 힌두쿠시산맥을 넘었던 전설적인 장군 고선지가 이끄는 군대는 상당수가 고구려인이었다. 백제 부흥군을 이끌다가 당나라에 투항한 흑치상지는 당나라 7대 장군의 반열에 오르기까지 했지만 처형당했다. 일부는 극적으로 나라를 부활시키기도 했다. 산둥반도에서 당나라의 존립을 위협했던 이정기 왕국도 고구려 유민세력이 주축이었다. 대조영은 한반도 북부와 남만주에서 발해를 세워 고구려를 계승했다.






    ** [kbs 역사스페셜]   89회  흑치상지 묘지석 1604자의 비밀    2000.10.21. 토







    ** [역사추적]   의자왕 항복의 충격 보고서! 예식진 묘지명        2008.12.20 토


    ** [KBS대전] [KBS대전 특별기획 다큐멘터리] 백제 의자왕

    ** [KBS전주] 일왕은 왜 전투병 2만7천을 백제에 파병했는가 | 백제 역사발굴 4부작(2부) | 2004.01.13(화) | KBS전주


    ** [역사추적]27회    백제부흥운동 흑치상지 당나라 대장군 되다        2009.06.15


    ** [국방TV] 백제 최고무사 흑치상지가 가져온 충격. [순삭밀톡]백제의 피 땀 눈물로 세워진 궁극의 요새.-임존성 2부






    대조영"
    이 게시물을..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수 추천수 날짜
    146 [인터뷰] '천주교 베스트셀러 작가' 영성 상담가 홍성남 신부, 새 책 '화나면 화내고 힘들 땐 쉬어' image
    조선일보
    31679   2012-08-24
    145 ◇폼페이, 사라진 로마도시의 화려한 일상 - 메리 비어드 image
    동아일보
    25327   2016-06-26
    144 네이버 갑질에 분노한 부동산 중개업계, 매물 광고 전면 중단 image
    조선일보
    16068   2020-12-12
    143 [신문은 선생님] [뉴스 속의 한국사] 임란 때 명 지원軍 이끌어내고, 中 화약 생산법 알아냈죠 image
    조선일보
    13445   2024-07-13
    142 송·거란 사이 능란한 줄타기로 영토 확장 image
    중앙선데이
    9331   2024-01-22
    141 웃는 고래 ‘상괭이’를 지켜주세요 image
    해양수산부
    15074   2020-12-17
    140 [조용헌 살롱] [1334] 조선왕조 종말 예언 image
    조선일보
    26692   2022-02-22
    139 후손과 학계, 지자체가 조작한 의친왕의 실체* image
    조선일보의
    13   2025-05-21
    138 ‘미얀마의 이방인’ 로힝야족은 누구인가 image
    동아일보
    19254   2021-02-27
    137 사신을 따라 청나라에 가다 - 손성욱 image
    경향신문
    14047   2020-12-18
    136 천재詩人 백석 100周… 그가 새로 태어난다 image
    돈보스코
    15752   2009-02-21
    135 대변동 - 재레드 다이아몬드 image
    조선일보
    13271   2021-01-09
    134 [김준의 맛과 섬] [231] 보성 장도 백반* image
    조선일보
    7376   2025-03-13
    133 [신문은 선생님] [무대 위 인문학] 우크라 살던 유대인 대가족… 러시아 추방령에 고향 떠났죠 image
    조선일보
    25960   2022-05-02
    132 5060 은퇴 재취업자 절반 일자리 2곳 이상 떠돈다 image
    한겨레
    34268   2019-04-15
    131 [서중석의 현대사 이야기] <20> 해방과 분단, 다섯 번째 마당 image
    프레시안
    26075   2014-01-08
    130 연안행 - 안재성 image
    알라딘
    32422   2020-04-12
    129 엄마야 누나야 강변 살자, 한강변 아파트 급등 예견한 동요? image
    조선일보
    26556   2020-08-01
    128 14대 조선 국왕 이연과 조선 군인 이순신 image
    조선일보
    26089   2022-09-18
    127 고려사의 재발견 태조 왕건 ③ 왕건과 궁예 image
    중앙SUNDAY
    23173   2013-04-16
    목록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