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일보
청렴-설득의 힘… 30년 흔들림 없었던 페리클레스 정치[조대호 신화의 땅에서 만난 그리스 사상]

조대호 연세대 철학과 교수

입력 2024-03-07 23:33업데이트 2024-03-07 23:33

《민주정은 시민 대중의 정치다. 하지만 그런 정체도 다수의 역량을 모아 공동선을 이뤄내는 정치가의 능력 없이는 제대로 작동할 수 없다. 아테네의 직접 민주정도 다르지 않았다. 시민의 의견 결집에 뛰어나야 훌륭한 정치가였고, 페리클레스는 그런 일을 가장 잘한 정치가였다. 그 시대의 정치에 대한 투키디데스의 평가가 이를 증언한다. “이름은 민주정이지만, 실제로는 제일인자에 의한 통치가 이루어졌다.” 페리클레스가 ‘민주적 권력자’였다는 말인데, 이는 형용모순이 아닐까?》









** 그리스 로마 신화를 지루하지 않게 한 번에 이해하는 방법! (5시간 순삭) | [MBN 그리스로마신화, 신들의 사생활]



chosun.com

민주정의 좌우 양극화, 선동가들의 득세… 아테네 몰락 불렀다

[한국정치평론학회와 함께하는 이 시대의 고전] 투키디데스 '펠로폰네소스 전쟁사'와 민주주의의 위기

기원전 480년 살라미스 해전에서 페르시아가 패배한 이래 50년간 아테네 세력이 팽창하며 구성한 제국에 헬라(Hellas·그리스 본토) 지역 도시국가들 대부분이 편입되어 갔다. 그 남쪽의 펠로폰네소스 반도에서 패권을 장악하고 있던 스파르타와 그 동맹자들 사이에 불안이 점증했다. 투키디데스는 세력 균형 변동과 그것이 불러일으키는 불안, 오늘날 학자들이 ‘투키디데스 함정’이라 부르는 국제정치의 구조적 조건을 전쟁의 진정한 동인이라 짚었다. 개별 인간과 사회가 선택하거나 통제할 수 없는 그 같은 조건이 성숙하면 전쟁의 발발은 필연이라는 구조적 결정론을 내포했다. 

출처 : https://www.chosun.com/culture-life/book/2025/07/26/ZKMVOBG5U5D4DCSHOJBYWAANLY/


chosun.com

민주정 지지했던 장군… 스파르타에 패해 추방

투키디데스는 누구…

 ‘펠로폰네소스 전쟁사’는 그리스 도시 국가들이 아테네와 스파르타의 양극 세력으로 나눠 벌인 펠로폰네소스 전쟁(기원전 431~404)을 다룬 역사서다. 스파르타가 승리한 뒤 고대 그리스 세계의 종말로 이어진 전쟁이었지만 투키디데스의 서술은 기원전 411년에서 멈췄다.

출처 : https://www.chosun.com/culture-life/book/2025/07/26/OIGVV5DBGBHLHIGTREVH4GBFH4/



이 게시물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