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책소개,독후감(인터넷책사랑)
글수 150

알라딘 첫화면으로 가기


안재성 (지은이) | 삶이보이는창 | 2011-12-22


액자소설 형식을 띤 이 소설은 모 문학상의 심사위원을 맡은 작가가 유난히 눈에 들어온 소설 한 편을 이야기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북한 주민이 보내온 그 소설의 제목은 ‘연안행’으로, 그의 아버지가 겪은 파란만장한 독립운동기를 그리고 있었다.


출처: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14394316


[예스24] 연안행 - 안재성(미리보기)


** 북한 핵개발은 사실 중국 때문이라고? 북중관계 진실! l 국제관계 전문가 김동기 l 혜윰달, 생각을 비추다 



국민일보 

조선의용군, 그들은 왜 연안에 갔을까… 안재성 장편 ‘연안행’

입력 : 2011-12-30 18:21

     

격랑의 한국 현대사에 휩쓸려 남한에서도, 북한에서도 제대로 평가받지 못한 조선의용군의 ‘연안행’은 그들의 삶과 꿈을 되살리려는 시도이자 그들의 잊혔던 꿈을 다시 흔들어 세우는 걸음걸음이다.


[출처] https://www.kmib.co.kr/article/view.asp?arcid=0005697671



상관인 여자와 부하인 남자...사랑에 빠질 확률은?

[서평 & 인터뷰] 조선의용군의 사랑과 꿈 다룬 안재성 소설 <연안행> / 박현주 2012.02.23

 

 이 소설 <연안행>은 현재 우리나라에서 발간된 문학작품 중 조선의용군의 창설부터 해방 후 상황까지 그린 최초의 작품이며, 조선의용군을 소재로 한 최초의 픽션이기도 하다. 탈북을 준비하는 어느 시베리아 벌목공이 아버지에게 들은 내용을 그대로 쓴 것이라는 프롤로그의 설정도 흥미를 끈다.

출처: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699757&CMPT_CD=SEARCH


연안행 : 네이버 블로그  


조선의용대 본부는 중국 항일 전선의 변동에 따라, 무한에서 계림을 거쳐 1940년 3월에는 중경으로 이동하였다. 조선의용대는 중국군 ‘6개 전구 남북 13개 성 전지’에 배속되어, 대일본군 반전선전, 대중국민 항전 선전, 일본군 포로 심문 활동을 전개하였다.

그러나 국민당 정부 지구에 국한된 선전 활동은 조선의용대 내부의 불만을 야기시켰다. 결국 화북 지역에서의 무장투쟁을 요구하던 대원들은 1940년 말부터 이듬해 여름 사이 황하를 건너 태항산 팔로군 지역으로 이동하였다. 태항산 지역에서 기존의 조선청년연합회 회원들과 합류한 조선의용대 주력은 1941년 7월 7일 조선의용대(朝鮮義勇隊) 화북지대(華北支隊)로 개편되었다.

출처: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78210



우리역사넷

중일전쟁[中日戰爭]

태평양전쟁과 제2차 세계대전으로 이어지다
1937년

일본은 전선을 확대하는 이면에 비밀 교섭도 시도하며, 1938년 11월에는 이른바 ‘동아 신질서’를 주장하는 성명을 발표하였다. 즉 ‘국민정부는 이미 지방정부에 불과하고, 그들이 항일 태세를 지속하면 일본은 끝까지 싸울 것이다. 다만 일본은 “영원한 동아의 안정을 확립하는 신질서”를 건설하려 하며, 국민정부가 항일 정책을 포기하면 신질서에 참가할 수 있다’고 했다. 그리고 1940년 3월 일본은 중국국민당 내 대일 주화론자 왕징웨이(汪精衛)을 내세워 난징에 중화민국 국민정부를 세웠다. 하지만 대다수 중국인은 왕징웨이 정권을 일본의 괴뢰정권으로 인식하고, 한간(漢奸) 즉 매국노라고 멸시하였다. 동년 11월 일본은 왕징웨이 정권과 조약을 체결하여 중국의 유일 정부로 인정하고, 전쟁을 마무리 지으려 했다. 일본·만주국·중국 3국의 공동선언을 발표하고 동아시아 신질서의 확립을 주장한 것이다. 그러나 왕징웨이 정권은 중국을 대표하는 정부가 아니었고 일본의 시도는 실패로 끝났다.



조선 의용군

1945년 8월 9일 소련군이 만주 일대에서 일본과 전투를 벌이자, 팔로군 총사령관 주더(朱德)는 조선 의용군(총사령 무정)에게 둥베이(東北)의 만주 지역으로 진격하라고 명령했다. 이 명령에 따라 옌안 및 중국 각지에 있던 의용군 부대들이 만주로 들어갔다. 일본이 패망한 뒤 조선 의용군은 북한으로 진입하려 했으나, 의용군이 북한에서 주도권을 장악할 것을 우려한 소련군이 반대하여 무산되었다. 이후 1945년 12월에 무정과 최창익, 한빈 등 고위 간부진과 대원 100여 명은 개인 자격으로 북한으로 들어갔다. 



시작은 독립운동, 끝은 한국전쟁... 조선의용군의 비참한 최후

[길 위에서 읽는 한국전쟁13] 조선의용군

민족·국제 윤태옥(kimyto)

발은 조국의 해방과 독립운동이었으나 전장은 시대의 격랑에 따라 항일 무장투쟁에서 중국 국공내전으로, 다시 조국의 한국전쟁으로 바뀌어갔다. 동족상잔의 전면전에서 선제공격의 주역이었으나 정전 이후 북한의 권력투쟁에서 토사구팽을 당했다. 참극의 한국전쟁을 관통하는 굵직한 비극의 하나가 바로 이들, 조선의용군이다.


** 아직도 소문만 무성한 중일 전쟁의 발단이 된 사건! 중일 전쟁에 미국이 끼어든 이유는? [전쟁사 읽어드립니다 EP.27] | 역사학자 임용한 박사
 

** [232회] [역사저널 그날태항산의 전설 ‘십자령 전투’     2019.08.18 일    

** [232회] [역사저널 그날나 조선사람 의용대요 - feat. 김원봉    2019.08.18 일    


** 민족 반역자 노덕술 - 최고의 악질 친일파 고문경찰   

** [242회] [역사저널 그날]  청산되지 못한 역사, 친일파 제1편 - 친일파의 탄생     2019.11.5 화    

** [243회] [역사저널 그날]  청산되지 못한 역사, 친일파 제2편 - 친일파의 변명     2019.11.12 화    

** [244회] [역사저널 그날]  청산되지 못한 역사, 친일파 제3편 - 친일파의 명작 스캔들     2019.11.19 화    




한겨레 HANI.CO.KR

김일성, 중공의 ‘북한화교 동원 공작’ 전폭적 지원

등록 : 2014.07.28 19:27수정 : 2014.07.28 20:37



김명호 교수의 북-중 교류 60년
⑪ 북한 전역에 ‘화교위원회’ 설립



동북전쟁중이던 중국 공산당은 
화교들 재력·인력 동원 시급했다 
서둘러 같은 편으로 끌어들이려 
김일성에 “협조해달라” 서신 보내자 
공작에 필요한 간부파견 허용했다



출처: http://www.hani.co.kr/arti/politics/defense/648828.html


** 사진과 함께하는 김명호의 중국 근현대
** [중앙선데이사진과 함께하는 김명호의 중국 근현대




[책과 삶]2차 세계대전은 망각했다 ‘장제스의 항일전쟁’을

문학수 선임기자 sachimo@kyunghyang.com

중일전쟁
래너 미터 지음 | 기세찬·권성욱 옮김
글항아리 | 528쪽 | 2만5000원


이 책은 완전히 다른 관점을 제시한다. 저자에 따르면 전쟁이 시작된 곳은 유럽이 아니라 중국이었다. 1937년 7월7일, 베이징 근처에서 ‘루거우차오(盧溝橋) 사변’으로 알려진 국지적 분쟁이 일어났다.                

                

원문보기: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2004032036015&code=960205


중앙SUNDAY중앙일보

장제스 일본에 버텨…중국 G2로 성장

                                        

김환영 기자

                     

중일전쟁

중일전쟁
래너 미터 지음
기세찬·권성욱 옮김
글항아리
 
 
 
장제스는 끝까지 제국주의 일본에 굴복하지 않았다. 중국의 항복을 예상한 이들을 겸연쩍게 만들었다. 장제스는 일본군 50만~80만 명을 8년 동안 중국에 묶어뒀다.


출처: https://news.joins.com/article/23746962



중앙SUNDAY김명호의 중국 근현대






이 게시물을..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수 추천수 날짜
150 마키아벨리의 꿈 - 곽차섭 image
한겨레
16638   2020-12-12
149 [뉴스AS] 탄소중립 위해 숲 베어낸다고? ‘늙은’ 나무는 죄 없다 image
한겨레
22463   2021-05-18
148 전쟁은 여자의 얼굴을 하지 않았다 - 스베틀라나 알렉시예비치 (중국어판 "我是女兵, 也是女人" 출판)
조선일보
30813   2015-11-02
147 청렴-설득의 힘… 30년 흔들림 없었던 페리클레스 정치[조대호 신화의 땅에서 만난 그리스 사상] image
동아일보
9017   2024-03-11
146 5060 은퇴 재취업자 절반 일자리 2곳 이상 떠돈다 image
한겨레
35418   2019-04-15
145 그때 그 시절 추억의 대학가요제! image
채널예스
15242   2021-12-23
144 마태오 복음서 I – 신약성경의 관문 image
인천주보
13080   2023-04-27
143 [아무튼, 주말] 입맛과 교양 모두 챙기는 대만 타이중 여행 image
조선일보
12217   2023-09-11
142 나는 조선인 가미카제다 - 길윤형 image
한겨레
20772   2020-04-09
141 5가지 키워드로 돌아보는 ‘2015 대중문화’ 1 image
경향신문
15668   2020-10-01
140 권경률의 노래하는 한국사(36) ‘북방 정벌’ 기개 떨친 남이 장군의 노래(上)* image
월간중앙
558   2025-06-11
139 재정 팽창의 두려움이 스페인제국도 쓰러뜨렸다 image
주간조선
12887   2023-07-15
138 나폴레옹으로 이름 바꾸고 30살에 쿠데타… 코르시카 ‘촌놈’, 대권을 잡다* image
조선일보
594   2025-06-11
137 [이한우의 朝鮮이야기(2)] 환관 김사행, 경복궁을 설계한 천재건축가 image
주간조선
30669   2014-04-02
136 핀란드의 끝없는 도전 - 파시 살베르그 image
조선일보
30511   2022-01-05
135 18년만의 아프간 평화협정... 신뢰가 없었다 image
한국일보
19297   2021-10-19
134 [아무튼, 주말] [손관승의 영감의 길] 이탈리아 거물들이 보여준 인생 후반전을 맞는 자세* image
조선일보
1105   2025-04-18
133 [아무튼, 주말] '서해의 몰디브' 민어도, '감성 캠핑 성지' 병술만… 여름보다 '핫'한 태안의 바다* image
조선일보
612   2025-06-06
132 프랑스 영화 ‘마틴 기어의 귀향’* image
중앙일보
743   2025-06-02
131 [유현준의 도시 이야기] 김홍도·신윤복은 ‘새로운 한양’을 다큐처럼 그렸다 image
조선일보
12370   2023-09-03
목록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