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23.07.27 03:30 | |
조선 후기 불교 건축 |
괘불: 조선 불교의 '재미'
‘야단법석’ 자리에 걸어놓은 조선 괘불
왜 이런 그림들이 조선 후기인 17~18세기에 전성기를 이뤘을까요. 우선 임진왜란(1592~1598) 이후 조선의 불교가 다시 크게 일어났다는 것을 알 필요가 있습니다. 조선은 원래 유교를 국가 이념으로 채택해 숭상하고 불교는 억압한 숭유억불(崇儒抑佛)의 나라였지만, 임진왜란 때 승병이 국난 극복을 위해 활약한 결과 불교에 대한 규제가 많이 사라졌습니다. 또 전란 중 허망한 죽음을 많이 본 백성들이 죽음 뒤의 희망을 말하는 불교에 많이 끌렸습니다. 이런 분위기에서 법주사 팔상전, 화엄사 각황전 같은 대형 불교 건물이 세워지게 됐고, 불교 미술은 다시 전성기를 누리게 됐습니다.
도시가 아니라 깊은 산속에 지은 불교 사찰들은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대규모 야외 법회를 자주 열었습니다. 나라를 위해 희생된 영혼을 위로하는 ‘영산재’, 육지와 물에서 죽은 모든 중생을 위로하는 ‘수륙재’, 생전에 지은 업보를 미리 닦는다는 ‘예수재’ 같은 것이 대표적인 법회죠. 많은 사람들이 절 건물 안에 다 들어갈 수 없어서 절 마당에 불단(부처를 모셔 놓은 단)을 차리는데 이를 야단법석(野壇法席)이라고 했습니다. 바로 이때 내건 부처님 그림이 괘불이었던 것입니다
미륵의 꿈 아전의 꿈(단편소설) | 황태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