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내일 기능사 실기시험인데 막막합니다... ㅠㅠ
비콜
2020.12.05 14:25
소공원 위주로 준비했는데, 옥상조경이 나온다네요
열심히 봐야겠습니다 ㅠㅠ
(A)
60대 나이에 독학하여 필기시험(73점) 합격후 1달 뒤 이어지는 실기시험을 며칠전(12월 1일) 치고 발표를 기다리고 있는 중입니다. 내가 치룬 시험은 어린이놀이복합공원이 나왔는데 8구역 정도에 각각 놀이시설이 배치되어야 하고 각 구역 주위에는 마운딩이 있으며 소나무군식을 하여야 했고 외곽은 녹지구역이고 원로에 수목보호대가 있었으며, 워낙 평면도에 그려야할 시설물이 많아 시간이 많이 소요되었습니다. 다행히 단면도는 단순하여 시간내 마무리지을 수 있더군요.
옥상정원에 대한 내용은 실기시험 준비 책에도 하나 정도 있거나 아예 없어서 준비하는 과정에서 답답하더군요.
있다하더라도 직접 공사를 안해보고 조경재료를 사용하여서이겠지만 이해가 안되는 재료들을 사용하는 예도 있더군요. 나는 평면도 단면도를 각각 23장을 그려보고 제도시험을 보았는데 2:30분 내에 제출하였읍니다,
제도가 안되면 합격할 수 없기에 시작단계에서 너무 이해가 되지 않아 제도에 거의 모든 시간 올인하고 수목감별과 조경작업 부분은 막판에 잠시 공부하여 개인적으로는 당락에 변수가 될 수가 있을 것 같습니다.
제도에서 35점, 조경작업에서 25점, 수목감별에서 2점 , 즉 최소 62점은 나오겠지,하고 생각하는데 웬만하면 합격할 것 같은데 년말에 발표하니 기다려봐야겠읍니다.
2018년에 옥상정원 조경문제가 출제된 바 있어서 (아주 적은 자료들을 참조하여) 내가 풀어본 평면도, 단면도인데 100% 정답은 아니겠으나, 50점 만점은 못 받더라도 시간내에만 제출한다면 35점은 받을 수 있잖을까 생각합니다.
인공토가 배수판에 흘러내리면 안되니까 사이에 부직포가 깔리는 것이고, 수목의 뿌리가 점점 뻗어내려 옥상의 콘크리크에 닿으면 뿌리가 상할테니 방근시트가 들어가는 것일테고, 최종적으로 원지반 자리에 옥상SLAB가 들어가야 합니다.
단면도의 지하부 재료에 다르게 복잡하게 사용된 다른 예도 있던데, 논리적으로 이해가 되지 않아 나는 "인공토(육성용)-인공토(배수용)-부직포-배수판-방근시트-옥상슬래브"를 선택했읍니다.
제도를 독학하면서 이해가 잘 안되어 공부가 괴로왔지만, 시간이 해결해줄 것이고, 중간에 포기만 하지 않으면 좋은 결과가 올 것이라고 스스로 마인드컨트롤하면서 계속 그리니 어느 순간 이해가 되더군요. 잘 그리지는 못했으나(겨우 총23장 그렸고, 옥상정원은 16장째 그린 것이니 당연하겠지요) 링크하니 참조하는데는 도움될 겁니다. 샤프를 여유 있게 하나더 준비해가시기를. 멀쩡한 샤프가 시험장에서 제도하는 중에 심이 안나오더군요. 다행히 이런 경우를 대비하여 1개 더 가지고 갔으므로 바로 대응할 수 있었습니다.
2020.12.6.
p.s.
** 조경용 배수판
** 옥상녹화 단면상세도
수목 종류 | 생존최소심도(cm) | 생장최소심도(cm) |
잔디,초본류 | 15 | 30 |
소관목 | 30 | 45 |
대관목 | 45 | 60 |
천근성교목 | 60 | 90 |
심근성교목 | 90 | 150 |
** 옥상녹화 SEDUM블럭
** 옥상녹화(도시녹화사업;Urban Forestation)
*실내조경의 설계기법 및 표현방법에 대하여 다루어본다. 도면의 종류(개념도, 평면도, 단면도, 입면도 등)를 설명하고, 견적을 내기 위한 계산방법에 관련하여 내역서에 표기하는 방법과 견적을 산출하는 계산법 등을 알아본다. 수목규격의 표시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강사 김수연[조경학 박사]
2007-01-01
*실내조경을 조성하는 데에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는데 식재방법에 따라 나뉨을 알려주고(정원형 화단형 화분형 계단형 공중형 혼합형 등), 시공의 순서에 대해 말한다. 시공을 할 때 소요되는 재료의 양을 계산하는 방법과, 시공후 관수시스템에 대하여 알려준다.
*강사 김수연[조경학 박사]
2007-01-01
[Mint] 친환경 바람에 ‘벽면 녹화’ 급부상
수직정원의 창시자로 불리는 프랑스 식물학자 파트리크 블랑(Patrick Blanc)은 ‘부직포’ 방식을 고안했다. 벽면에 대형 부직포를 깔고, 부직포에 작은 포켓들을 여러 개 만들어 식물을 배치한다. 흙 없이 부직포에 설치된 가느다란 관에 영양분을 넣은 물을 흘려보내 식물을 키우는 수경재배(水耕栽培)의 일종이다.
** [조경기능사 실기] 기출문제_문제의 요구조건 파악하기_옥상정원
** [조경기능사 실기] 2021년1회 옥상정원(변형)_시험문제복원
** 조경기능사 실기 도면작성 합격공식 6 (옥상정원편)
** 조경기능사실기 옥상정원문제해설 평면도
** 학원에 가지 않고 준비하는 조경기능사(조경설계 09 옥상조경)
**
**
** 옥상허브정원
** 조경기능사 실기 도면작성 합격공식 6 (옥상정원편)